사외이사 견제 기능 강화로 이사회 중심 책임경영 제고
삼성SDI·삼성SDS 이사회 의결로 '선임사외이사' 선임
[뉴스포스트=이상진 기자] 이재용 회장 취임 1주년을 앞둔 삼성이 삼성SDI와 삼성SDS가 26일 이사회를 열고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선임사외이사 제도는 대표이사 또는 사내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으면, 사외이사를 대표하는 선임사외이사를 뽑아 적절한 균형과 견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다. 이번에 제도를 도입한 삼성SDI와 삼성SDS는 이사회의 독립성과 위상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지 않은 삼성 계열사들도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을 검토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생명, 삼성화재, 삼성증권, 삼성카드, 삼성자산운용, 삼성물산 등 8개사는 이미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어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 대상은 아니다.
삼성이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한 것은 거버넌스 체제를 재편해 경영 투명성을 제고하고 사회와의 소통을 확대하기 위한 차원이다. 선임사외이사 제도는 국내 상법상 비금융권 기업은 의무대상이 아니다. 하지만 삼성은 외부의 다양한 의견을 적극 수용하고자 선제적으로 제도를 채택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이로써 삼성은 기존 사외이사 이사회 의장 선임과 함께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추가로 도입해 '이사회 중심 책임경영' 정착 및 거버넌스 체제 재편을 위한 2가지 '표준 모델'을 주요 계열사에 접목하게 됐다.
한편, 삼성은 사외이사들이 중요한 의사결정시 법률 및 회계 등 외부 전문가들의 조력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 사외이사들이 경영 전반에 대한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경영진이 참여하지 않는 별도의 사외이사 모임도 수시로 개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