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통계연구원, SRI 통계플러스 발간
청년기 혼인, 출산, 주거·산업 등 분석
[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결혼을 한 번도 하지 않은 40대 인구 비율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의 경우 20년 동안 5배가 늘었다. 경제적 문제와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가 40대 미·비혼 인구 급증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27일 통계청 국가통계원은 'SRI 통계플러스' 2025년 여름호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는 청년기 교육 및 취업 현황과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특정 기간에 태어난 집단)별 비교 연구가 수록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40세까지 초혼을 경험하지 않은 미혼 또는 비혼의 인구 비율이 시대가 변하면서 급증하고 있다. 40세 여성 미·비혼 비율보다 남성이 훨씬 높다.
40세까지 미·비혼인 여성들의 비율은 ▲ 1920년생 0.1% ▲ 1930년생 0.2% ▲ 1940년생 0.6% ▲ 1950년생 1.4% ▲ 1960년생 2.9% ▲ 1970년생 8.1% ▲ 1975년생 13.5% ▲ 1980년생 17.2%로 점점 증가했다.
남성의 경우 더욱 또렷하다. ▲ 1920년생 0.4% ▲ 1930년생 0.5% ▲ 1940년생 0.9% ▲ 1950년생 1.9% ▲ 1960년생 6.3% ▲ 1970년생 18.3% ▲ 1975년생 25.9% ▲ 1980년생 30.1%다. 20살 차이인 1960년생과 1980년생 40세 미·비혼 비율은 약 5배에 달한다.
보고서는 "남녀 모두 1940년생 코호트까지는 40세까지 미·비혼으로 남아 있는 비율이 1% 미만으로 극히 낮은 것이 확인됐다"면서 "1950년대생부터는 비율이 빠르게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이 같은 경향성이 훨씬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청년들이 결혼을 주저하게 만드는 주요한 원인으로 주거 마련을 포함한 결혼자금 문제가 20대는 35.4%, 30대는 33.9%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결혼 필요성을 못 느낀다는 응답과 출산 양육 부담이 뒤를 이었다.
1970~1974년생 남성이 20대였을 당시 결혼 의향은 동일 연령대 1990~1994년 남성들보다 약 2배 높았다. 여성의 경우 전체적으로 결혼 의향이 남성보다 모든 연령대에서 약 20% 포인트 낮다.
40세 여성 출산율은 급감
40세 기준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1920년생 여성은 평균 5.1명을 출산했다. 1930년생은 5명, 1940년생 3.9명, 1950년생 2.6명, 1960년생 1.9명, 1970년생 1.7명, 1975년생 1.5명, 1980년생 1.7명이다. 1960년생부터 인구 유지 가능 수치인 2.1명 이하로 떨어졌다.
40세 기준 기혼 여성의 무자녀 비율은 1960년생(3.04%)부터 빠르게 증가해 1980년생은 9.64%에 이르렀다. 1920년생은 2.46%, 1930년생 1.74%, 1940년생 1.56%, 1950년생 1.64%, 1970년생 2.73%, 1975년생 6.76%다.
보고서는 "여성의 40세 기준 출산율 추세는 지난 수십 년간 한국 사회에서 진행된 저출산 기조를 잘 반영하고 있다"면서도 "1940년생부터는 40세 기준 출산율이 3.9명으로 큰 폭으로 감소했는데, 1960년대부터 시행한 산아 제한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한 결과로 풀이된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