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이끌 수소차, 운전자들의 만족도는? 
안정성 인식, 충전 인프라 구축 숙제

[뉴스포스트=이해리 기자] “매연 냄새 없고, 조용하고, 연비도 좋기 때문에 차 자체는 엄청나게 만족합니다. 다만 충전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지방 가기는 힘들어요.”

서울 여의도 국회 앞 수소차 충전소에서 만난 운전자 신(53) 씨는 환경보호에 기여하기 위해 3개월 전 수소차를 구매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 9월 문을 연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수소충전소. (사진=이해리 기자)
지난 9월 문을 연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수소충전소. (사진=이해리 기자)

지구 평균기온 상승에 따른 폭염과 가뭄 등의 자연재해가 갈수록 그 강도를 더해가고 있다. 히말라야산맥과 극지방 빙하가 녹는 속도도 점점 빨라지는 등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지난 2018년 글로벌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330억 톤으로 전년보다 1.9% 증가했다. 국가별로 보면 인도가 4.2%, 미국과 중국이 각각 3.1%, 한국은 3.0%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후 변화를 막기 위해서는 전 지구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배출량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교통 부문의 혁신이 필수다. 이에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하고 친환경 차 판매를 의무화하는 나라도 늘어나고 있다. 노르웨이는 신규 내연기관차 판매를 2025년부터 금지한다. 네덜란드와 아일랜드, 슬로베니아, 이스라엘, 인도는 2030년까지, 스코틀랜드는 2032년, 프랑스와 영국, 대만은 2040년부터 내연기관 신규판매를 금지한다. 중국은 올해부터 내연기관차를 생산하는 신규공장의 건설을 금지했다.

우리나라도 올해 1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드맵’을 발표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의 도약이라는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뉴스포스트>는 수소차 충전소를 찾아 친환경 움직임에 제일 먼저 함께한 사람들을 만나봤다. 

충전 중인 수소차. (사진=이해리 기자)
충전 중인 수소차. (사진=이해리 기자)

올해 9월 세계 최초로 ‘국회 수소충전소’가 문을 열었다. 국회 수소충전소는 지난 2월 산업통상자원부의 제1호 규제 샌드박스 사업으로 국회와 정부, 관련 기관이 설치에 협조했다. 

서울 시내의 수소 충전소는 양재, 상암, 국회 세 곳이며 이외에도 현대 계동 사옥, 강서공영차고지, 탄천물재생센터, 강동구 상일동 등 네 곳에서 수소충전소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기자가 방문한 국회 수소충전소는 국회의사당 왼쪽 대로변에 총면적 1236.3㎡(374평) 규모로 조성됐다. 도로에서는 잘 보지 못한 파란 번호판을 단 많은 차가 충전을 위해 줄을 서 있었다. 

수소차 충전소 김 모 씨는 “하루 보통 50대에서 65대 정도 충전 하러 온다”면서 “원래는 25㎏ 용량으로 한 시간에 5대 충전할 수 있게 돼 있지만, 5㎏을 전부 충전하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한 시간에 8~9대 정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소차는 수소를 이용해 전기를 발전시키는 수소연료전지 스택이 탑재돼 있으며, 자체 발전기가 있어 배터리 용량이 전기차보다 작다. 주행거리는 600㎞에 육박하고 3~5분 만에 고속 충전이 가능하다. 수소 1㎏을 충전하는 데 약 8,000원 수준이다. 

수소차 운전자 박 모 씨(56)는 “매연이 안 나오고 엔진이 없기 때문에 소음이 안 들려 조용하다. 또 공회전 없이 바로 시동을 걸어서 갈 수 있어서 좋다”면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가 홍보하는 게 최고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수소차 홍보를 많이 하고 다닌다”라고 말했다. 

반면, 수소차 운전자들이 첫손에 꼽는 단점은 충전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지난해부터 올해 9월까지 팔린 수소차는 모두 3,300여 대지만 전국 충전소는 31곳에 불과하다. 서울에 있는 충전소는 총 3곳이며. 대구와 강원도, 제주도는 충전소가 없다. 

수소차 운전자 이 모 씨(40)는 “충전소가 부족해 지방은 생각을 못 하고 있다”면서 “수소차 좋다고 얘기하고 다니지만, 지방 많이 다니는 사람에게는 아직까지 추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충전소 자체도 작지만, 충전기가 가끔 고장 나 있기도 하다”면서 “미리 충전소에 전화해 충전이 가능한지 알아봐야 할 때가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수소충전소 안내문. (사진=이해리 기자)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수소충전소 안내문. (사진=이해리 기자)

정부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난 22일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을 마련하고 앞으로 3년 안에 전국에 총 310기의 충전소를 만들기로 했다. 수소차 운전자가 전국 어디서든지 30분 이내에 충전소를 찾게 한다는 목표다. 

이와 함께 ‘수소유통센터’를 구축해 현재 1kg에 8,000원 수준인 수소 가격을 2022년에는 6,000원, 2040년에는 3,000원까지 낮출 계획이다. 

하지만 최근 국내외에서 수소폭발 사고가 발생해 수소에너지의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주민들 반대로 인해 충전소 건립이 난항을 겪고 있다.

충전소 직원은 “충전소가 위험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면서 “충전은 마이너스 수소이온과 플러스의 공기 이온을 합쳐서 전기를 만드는 것으로 수소 폭탄과는 전혀 다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휘발유 차에 총을 쏘면 휘발유 차는 폭발하지만, 수소차는 총을 쏘면 위로 솟구치기만 하고 터지지는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와 관련해 충전소 안전에 관한 법 기준을 강화하고 수소 안전 전담기관도 설치할 방침이지만, 수소충전소가 위험하다는 인식은 넘어야 할 산이다. 

친환경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수소는 미래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올랐다. 아직은 생소한 수소 에너지에 대해 정부와 산업계가 안정성과 필요성 등을 국민의 시각에서 풀어내는 것이 우선시 돼야 할 것이다. 

친환경 에너지 혁명을 이끌 수소차를 시작으로 온실가스를 저감하고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친환경 교통수단이 전국 곳곳을 누비는 것을 기대해본다. 

서울 시내에서 운영 중인 수소 택시. (사진=이해리 기자)
서울 시내에서 운영 중인 수소 택시. (사진=이해리 기자)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