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차선 노조 “현장서 급조한 장비로 작업...국가철도공단 위험 방치”
- 국가철도공단 “늦어도 내년 1분기까지 장비 개선안 마련해 관리감독할 것”
[뉴스포스트=이상진 기자] 국가철도공단의 전차선로를 유지·보수하는 노동자들이 “국가철도공단이 ‘열차 전태일’의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작업 환경을 방치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17일 전재희 전국 전차선 노동조합 교선실장은 <뉴스포스트>에 “국가철도공단의 철도 유지보수 업무에 종사하는 전국 350여 명 ‘열차 전태일’들이 열악한 작업 환경과 불안정한 고용 형태에 내몰린 상태”라며 “국가철도공단이 하도급을 주는 전국 22개 전기공사업체가 임단협을 하도록 감독하는 책임을 져버렸다”고 말했다.
전차선 노조에 따르면, 국가철도공단 철로 유지보수 노동자들은 공단 소속이 아니다. 이들은 국가철도공단이 하도급을 준 22개 전기공사업체에서 ‘일용직 용역’으로 일하고 있다. 철로 유지보수 노동자들이 철도공단의 ‘필수유지업무’를 수행하고 있음에도, 하도급사의 일용직 형태로 일하고 있어 고용이 불안정하다는 설명이다.
위험한 작업 환경도 지적된다. 노동자들은 이른바 ‘A형 사다리’와 ‘지네발’ 등 현장에서 급조한 장비로 작업하는 위험을 감수하고 있다. 노조에 따르면 지난해 10건의 안전사고 가운데 7건이 아웃트리거 등 안전 보조장치가 없는 ‘A형 사다리’ 등으로 인한 추락사고였다.
전차선 노조 관계자는 “야간작업 시 10미터 높이에서 조명도 없이 일한다”면서 “철도공단의 책임지지 않는 태도가 노동자들을 인간 이하의 일회용품으로 전락시키고 있다”고 했다. 이어 “철도 필수유지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열악한 작업 환경은 국민이 이용하는 철도의 안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국가철도공단 관계자는 “전차선 노조가 지적하는 A형 사다리 등 안전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계획안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내년 1분기, 빠르면 올해 12월쯤 안전을 보강한 장비를 구입하는 계획안을 22개 전기공사업체에 전달해 관리감독할 예정”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올해 생긴 전차선 노조와 22개 전기공사업체가 처음으로 임단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업자별로 개별 임단협을 진행하는 등 애로사항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향후 사용자 협의체가 구성돼 임단협 창구가 단일화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개별 업체의 경영권 간섭이 될 수 있는 만큼 공단이 임단협 과정에 참여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근로자의 작업 환경과 국민의 철도 안전에 대해선 산업안전보건법 등 관계 법령에 기초해 철저하게 관리하는 만큼, 국민들께서는 우려하지 않으셔도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