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김혜선 기자] 혈전 발생 논란으로 접종이 보류됐던 아스트라제네카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12일 재개된다. 다만 30대 미만은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사진=AP/뉴시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사진=AP/뉴시스)

보건 당국은 이날부터 특수교육·보육, 보건교사와 어린이집 간호인력, 장애인시설 등 2분기 접종대상 약 14만2000여명에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한다. 당초 2분기 접종대상자들은 지난 8일부터 백신 접종을 받아야 했지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희귀 혈전 증상 논란으로 잠시 연기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예방접종위원회 등 백신 전문가들과 자문을 거친 결과, 30대 미만을 제외한 2분기 접종 대상자들에 백신 접종을 재개하기로 지난 11일 결정했다. 예방접종위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의 이득이 접종 후 희귀혈전증 발생으로 인한 위험을 상회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접종의 연령별 이득과 위험 분석결과에 따라 위험대비 이득이 높지 않다고 평가된 ‘30세 미만’에 대해서는 접종을 권고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

이는 30대 미만 성인에서 백신 접종에 따른 이득과 희귀 혈전 발생에 따른 위험이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에 따른 것이다. 정재훈 가천의대 예방의학 교수의 연구 결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에 따른 이득이 희귀 혈전 발생에 따른 위험보다 높은 연령대는 30대 이상이었다. 40대 이상의 경우 위험보다 이득이 명백히 높았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사용의 잠재적 이득-위해 비교. (사진=질병관리청 제공)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사용의 잠재적 이득-위해 비교. (사진=질병관리청 제공)

추진단은 “유럽의약품청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의 부작용으로 분류한 희귀혈전증은 일반적인 혈전질환과는 다르며, 매우 희귀하게 발생(인구 100만 명 당 4명, 영국)하는 혈소판 감소를 동반한 희귀한 혈전증만을 포함한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는 백신 접종 후 혈전증 사례 3건이 발생했다. 추진단은 “이 중 2건은 백신과의 인과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1건은 인과성은 인정되었으나 혈소판 감소가 없어 유럽의약품청의 부작용 사례정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