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김회재 의원 “20대 가구 자산 격차, 소득 아닌 부의 대물림 때문”

[뉴스포스트=이해리 기자] 자산 가격이 상승하며 MZ세대(20~30대) 사이에서도 자산 격차가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는 상·하위 자산 격차가 약 39배에 달할 정도다. 

(사진=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사진=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11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MZ세대가 가구주인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 1,849만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보다 2,200만 원 늘어난 수치다.

전체 평균 자산은 늘었지만 MZ세대 내 자산 격차는 확대됐다. 지난해 기준 MZ세대 내 자산 하위 20%인 1분위의 평균 자산은 2,473만 원으로 전년보다 54만 원(2.6%) 늘었다.  

반면 상위 20%인 자산 5분위의 평균 자산은 8억 7,044만 원으로 전년보다 7,031만 원(8.8%) 증가했다.

자산 상위 20%의 평균을 하위 20% 평균으로 나눈 5분위 배율은 2019년 33.21배에서 2020년 35.20배로 더 확대됐다. 5분위 배율은 배수가 커질수록 불평등도가 악화했다는 뜻이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가구가 30대보다 자산 격차가 더 컸다. 지난해 20대 가구 하위 20%의 평균 자산은 844만 원, 상위 20%의 자산은 3억 2,855만 원이었다. 하위 20%의 자산은 전년대비 115만 원(-11.9%) 감소한 반면, 상위 20%의 자산은 817만 원(2.5%) 늘었다.

이에 따라 20대 가구의 자산 5분위 배율은 2019년 33.42배에서 2020년 38.92배로 뛰었다. 지난해 30대 가구의 자산 5분위 배율은 23.82배였다.

반대로 세대별 소득 격차는 20대가 30대보다 더 작았다. 지난해 20대 가구의 자산 분위별 소득을 분석한 결과 상위 20%의 자산을 가진 가구의 평균 경상소득은 5,262만 원, 하위 20%의 평균 경상소득은 2,145만 원이었다. 이에 따라 20대의 소득 5분위 배율은 2.45배로, 30대 소득 5분위 배율인 3.05배보다 낮았다.

김회재 의원은 “20대 가구의 자산 격차는 큰 반면, 소득 격차는 작게 나타났다”며 “20대 가구의 자산 격차가 소득 차이가 아닌, 부의 대물림 때문이라는 점이 간접적으로 드러나는 지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부모의 재력에 따라 출발점이 달라지는 기회의 불공정, 부의 대물림의 고리를 이제는 끊어야 할 때다. 우리 사회가 양극화 해소를 위해 머리를 맞대고 조속히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