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오염 주범인 이산화탄소·폐플라스틱 활용 친환경 수소 생산
2024년까지 수소차 15만대 사용량 생산 목표로 4천억원 투자

[뉴스포스트=이상진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이 환경오염의 위험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폐플라스틱을 자원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확보하고 고순도 청정수소 생산 사업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폐플라스틱 자원화 과정. (자료=현대엔지니어링 제공)
폐플라스틱 자원화 과정. (자료=현대엔지니어링 제공)

현대엔지니어링은 올해까지 폐플라스틱을 원료로 고순도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기술 실증 테스트를 마칠 예정이다. 이후 오는 2022년부터 수소생산 플랜트 건설을 시작해 2024년 본격적인 상업생산을 목표로 추진한다. 총 사업비는 4,000억 원 규모로, 충남 당진에 플랜트를 건설한다.

충남 당진 수소생산 플랜트는 연간 10만 톤 규모의 폐플라스틱 원료를 처리해 고순도 청정수소 제품을 연간 2.2만 톤 규모로 생산할 계획이다. 수소 2.2만 톤은 수소차 15만대가 약 1년간 운행이 가능한 규모다.

최근 수소경제 활성화와 탄소중립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세계적으로도 폐플라스틱 자원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확대되고 있다. 매년 폐플라스틱의 발생량은 급증하고 있으나 이를 처리 및 재활용할 수 있는 시설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정부는 폐플라스틱 열분해 처리 비중을 2020년 기준 0.1%에서 2030년까지 10%로 높여 순환경제 및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선도할 계획을 밝혔다. 폐플라스틱 열분해 처리 규모를 연간 1만 톤에서 2025년 31만 톤, 2030년에는 90만 톤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현대엔지니어링이 추진하는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수소 생산은 우리 주변의 폐플라스틱을 활용해 경쟁력 있는 가격에 수소 생산이 가능해 ‘수소 산유국’으로서의 입지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의 핵심기술인 가스화를 통한 수소생산기술은 폐플라스틱을 열분해시킨 후 가스화기에 투입해 일산화탄소와 수소의 혼합물인 합성가스를 생산하고, 촉매반응을 통해 최종적으로 고순도(99.999%) 수소 제품생산이 가능한 기술이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폐플라스틱 자원화를 통한 청정수소 생산사업 진출로 현대자동차그룹 수소밸류체인의 한 축을 담당하는 에너지 공급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대엔지니어링이 보유한 역량을 적극 활용해 친환경 에너지 사업 분야에서 지속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ESG 경영을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