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태수 회장 “적극적인 벤처 투자로 개방형 혁신할 것”
GS그룹 관계자 “모빌리티 협력 등 구체적 계획 아직”

[뉴스포스트=이상진 기자] GS그룹이 밝힌 수십조 원 투자계획이 사업성이 모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허태수 GS그룹 회장. (사진=GS 제공)
허태수 GS그룹 회장. (사진=GS 제공)

지난 26일 GS그룹은 오는 2026년까지 미래 에너지와 모빌리티 등 신사업에 21조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GS그룹은 향후 5년간 에너지 부문에 14조 원, 유통·서비스 부문에 3조 원, 건설·인프라 부문 4조 원 등 3대 핵심 사업에 총 21조 원을 투자한다. 

계열사별로는 GS칼텍스가 석유화학 소재 사업을 확대한다. GS에너지는 친환경 에너지 신기술과 해외 자원개발 투자를 늘린다. GS리테일은 매장을 늘리고 디지털화를 추진해 유통·서비스 부문에서 디지털 혁신을 추진한다. GS건설과 GS글로벌은 신성장 사업과 사회간접자본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다.

GS칼텍스와 GS에너지, GS EPS, GS E&R 등 에너지 부문 계열사에 14조 원이 투자된다. GS리테일과 GS네트웍스 등 유통·서비스 계열사에는 3조 원이 투자되고, GS건설과 GS글로벌 등 신재생 및 건축 부문에는 4조 원이 투입된다.

이날 허태수 GS 회장은 투자 발표 배경에 대해 “디지털과 친환경이라는 사업환경 변화를 사업의 기회로 활용하려는 일관된 의지와 실행이 GS의 미래성장 열쇠”라며 “적극적인 벤처 투자와 개방형 혁신을 통해 GS와 벤처 등 협력사가 함께 성장하는 건강한 사업 생태계를 이뤄낼 것”이라고 했다.

허태수 회장의 계획에 따라 GS는 전체 투자액 가운데 10조 원을 신사업·벤처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모빌리티와 친환경 에너지, 자원 재활용 분야에 투자한다고 전했다. 전 지구적인 탄소 줄이기에 동참하고 지속 가능한 사업 기회를 발굴하겠다는 설명이다.

문제는 GS그룹 관계자에 따르면, GS그룹이 밝힌 수십조 원 규모 투자계획이 구체성이 부족하고 이익 부분에서 사업성이 모호하다는 것이다. 

GS그룹 관계자는 지난 30일 뉴스포스트와의 통화에서 “모빌리티 부문 협력 등에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없다”며 “신사업 벤처투자는 이익보다는 ESG경영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SMR과 수소에너지는 GS그룹이 연구개발에 참여하는 게 아니라 뉴스케일파워 등에 투자하는 개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21조 원 투자계획에 따른 GS그룹 계열사 증감 여부도 아직 정해진 게 없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