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과 유가족께 깊은 애도와 사과드린다"
근로자 안전…앞으로 그룹 중심에서 컨트롤
'다단계 하청구조' 악순환 고리도 끊어낸다
안전 예산…'먼저 집행하고 나중에 보고' 원칙

(사진=포스코홀딩스)
(사진=포스코홀딩스)

[뉴스포스트=최문수 기자] 올해 근로자 사망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자 포스코그룹이 안전관리 혁신계획을 내놨다. 재해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데 회사의 모든 자원과 역량을 모으겠다는 방침이다.

포스코그룹의 이같은 조처는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언급한 포스코이앤씨를 향한 질타와 무관치 않다. 이 대통령은 "이날 생명을 귀하게 여기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반복된 사고는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봐도 무방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실제로 포스코이앤씨는 시공 현장에서 올해 4명의 근로자가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올해 1월 경남 김해 아파트 신축현장 추락사고를 시작으로 4월 경기도 광명 신안산선 건설현장 붕괴사고, 대구 주상복합 신축현장 추락사고가 발생했으며, 지난달 28일에는 경남 함양울산고속도로 의령나들목 공사 현장에서 사면 보강작업을 하던 60대 노동자가 천공기(지반을 뚫는 건설기계)에 끼여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1일 포스코그룹은 "먼저 최근 포스코그룹 사업장에서 발생한 불의의 사고로 소중한 생명을 잃은 고인과 사랑하는 가족을 떠나보내신 유가족분들께 깊은 애도와 진심 어린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라며 "국민 여러분께도 작업현장의 안전문제로 심려를 끼쳐드린 점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운을 뗐다.


그룹 최고 가치는 '안전'…"관리 체계 진단·개선"


우선, 포스코그룹은 안전이 그룹 최고 가치로 삼고, 안전관리체제를 각 회사 중심이 아닌 그룹 자체로 돌려 시스템과 인프라를 개선한다. 구체적으로 그룹 회장 직속의 '그룹안전특별진단TF팀'을 이날부터 즉시 출범한다. TF는 학계, 기관 등 외부 전문가들과 직원, 노조 등 대의기구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해 그룹 안전관리 체계 전반에 대한 현황을 진단하고 개선과제를 도출하는 역할을 맡는다.

회사는 "근로자는 보호의 객체가 아니라 예방의 주체라는 생각으로 직원 대의기구, 현장 근로자 등 현장의 최고 전문가들이 안전경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도록 폭넓은 권한을 부여하겠다"고 설명했다.


'다단계 하청구조' 끊는다…위반 적발 시 엄벌


포스코그룹은 국내 하도급 문제 해결을 위해 선도적인 역할을 자처하겠다는 자세로 하도급구조를 혁신한다는 의지다. 원천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하여 다단계 하청구조에서 비롯되는 위험의 외주화를 막겠다는 복안이다.

모든 현장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 위반사례가 적발되는 하청 업체의 경우 포스코그룹은 거래중단 및 계약해지 등 강력 조치를 취한다.


안전 예산은 '先(선) 집행 後(후) 보고'


포스코그룹은 안전관리 혁신 및 인프라를 강하겠다는 목적으로 매출의 일정 비율 이상을 안전 예산으로 편성하고, 先(선) 집행 後(후) 보고 원칙에 입각해 안전 예산을 대폭 늘린다는 계획이다.


안전 전문회사 설립 검토


끝으로, 포스코그룹은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 전문회사 설립을 검토한다. 글로벌 안전우수기업 벤치마킹, M&A 등 모든 방안을 고려, 안전과 AI(인공지능)를 접목해 안전기술 개발, 안전진단 및 솔루션, 공사 안전 플랫폼 등을 개발해 중소기업과 하청업체 등 제조 및 건설현장에 안전기술을 제공하겠다는 그림이다.

포스코그룹은 "회사는 친노동, 노동 안전이 기업의 경쟁력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금번 안전관리 혁신계획을 실행하고 산업재해 예방을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면서 "이를 통해 우리사회 구성원 모두가 즐겁게 일하고 안전하게 퇴근할 수 있는 산업안전문화 조성의 선두에 서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