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1위 도약 성과…커스텀 HBM 등 고객 요구 관철할 것"
[뉴스포스트=최종원 기자] SK하이닉스가 '풀스택 메모리 프로바이더' 입지를 넘어 메모리 크리에이터로서 역량 강화를 다짐했다. 엔비디아·오픈 AI·TSMC 등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 의지도 다졌다.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는 3일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SK AI 서밋 2025(AI Summit 2025)'에서 기조연설을 진행했다.
곽 대표는 발표를 시작하며 '1'이라는 숫자를 강조했다. 그는 "SK하이닉스가 지난 1년 동안 이뤄 낸 성과는 메모리 1위,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 1위였다"며 "박수를 치면 될 것 같다"고 강조했다.
곽 대표는 이어 메모리 발전 속도가 프로세서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실을 언급하며 '크리에이터'로서 차세대 전략을 소개했다. 그는 "풀스택 AI 메모리 제공업체로 입지를 확고히 다졌지만 이 역할만으로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프로바이더를 넘어 풀스택 AI 메모리 크리에이터로서 지향점을 제시한다"며 "고객이 가진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며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원하는 것 이상을 제공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한 핵심 전략으로 '커스텀 HBM'을 언급했다. 곽 대표는 "AI는 최근 추론 효율성, TCO의 최적화로 확대돼 커스텀 HBM은 고객의 요청을 반영해 GPU 에이직의 일부 기능을 HBM 베이스 다이로 옮겨오게 됐다"며 "이를 통해 연산성능을 극대화하고 전력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AI 시대의 D램도 소개했다. 곽 대표는 "D램의 영역을 세분화해 각 영역에 맞는 메모리 솔루션을 준비 중이고, 저전력·신규격 D램이 그 예"라며 "한계를 뛰어넘는 초고용량 메모리 및 자유자재로 메모리 할당이 가능한 솔루션, 로보틱스·모빌리티·자동화 등 응용이 가능한 고품질 D램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낸드플래시는 고성능을 강조한 AIMP로 작은 사이즈임에도 기존보다 대폭 향상된 입출력 속도를 지원하는 초고성능 SSD를 출시한다. AIMB는 HBM의 용량 증가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HBM과 같이 활용될 수 있도록 제품을 개발 중이다. AIMD는 초고용량 SSD로서 밀도를 강점으로 HDD와 경쟁에 나선다.
협업 의지도 다졌다. 곽 대표는 "AI 시대의 경쟁은 혼자만의 역량이 아닌 고객과 파트너와 협업을 통해 더 큰 시너지를 만드는 업체가 성공할 것"이라며 "고객 만족과 협업 원칙 아래 최고의 파트너들과 가능성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곽 대표는 "엔비디아와는 HBM 및 AI 제조 혁신 관련 기술 협업, 오픈 AI와는 고성능 메모리 적용을 위한 장기적 파트너십, TSMC와는 차세대 HBM 기술 협력, 샌드스코어는 차세대 낸드 기술 HVF의 국제 표준화, 네이버 클라우드와는 데이터센터 효율화를 위한 차세대 메모리 및 소프트웨어 최적화 협력 등이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