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김혜선 기자]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완화된 14일 서울 밤거리에 불빛이 돌아왔다. 이날 서울 시내 먹자골목에서는 몇몇 시민들이 모여 저녁식사를 하는 모습이 포착됐지만 평소와 같이 붐비는 모습은 아니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완화 뒤 돌아온 서울밤 불빛. (사진=김혜선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완화 뒤 돌아온 서울밤 불빛. (사진=김혜선 기자)

14일 오후 9시가 넘은 시각, 컴컴했던 서울 시내 골목 음식점들은 모두 불빛을 켜고 영업을 시작했다. 지난달 30일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가 시행된 후 보름 만이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되면서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은 지난달 30일부터 밤 9시 이후 야간 영업이 제한되는 내용의 거리두기 2.5단계가 적용돼왔다.

지난달 30일 밤 서울 시내 한 먹자골목(왼쪽)과 지난 14일 같은 시내 먹자골목(오른쪽). (사진=김혜선 기자)
지난달 30일 밤 서울 시내 한 먹자골목(왼쪽)과 지난 14일 같은 시내 먹자골목(오른쪽). (사진=김혜선 기자)

거리두기가 완화됐지만 아직 시민들의 긴장감은 풀리지 않은 모양새다. 월요일 저녁시간대인 점을 고려해도 영업 중인 음식점 대부분은 손님 테이블 1곳 정도만 차 있을 뿐 매우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

서울 시내 한 포차집. 실내 테이블에 손님 1팀만 있을 뿐 텅 비었다. (사진=김혜선 기자)
서울 시내 한 포차집. 실내 테이블에 손님 1팀만 있을 뿐 텅 비었다. (사진=김혜선 기자)

골목에서 가장 손님이 많았던 한 횟집에는 제법 사람이 모였지만, 야외 테이블석 4~5곳만 차 있을 뿐 실내에는 손님이 거의 없었다. 가게 종업원 A씨는 “월요일 저녁이기도 하지만 평소보다 손님이 더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먹자 골목에서 늘 사람이 붐볐던 횟집은 야외 테이블 몇 석만 찼을 뿐 실내는 한산했다. (사진=김혜선 기자)
먹자 골목에서 늘 사람이 붐볐던 횟집은 야외 테이블 몇 석만 찼을 뿐 실내는 한산했다. (사진=김혜선 기자)

번화가로 발걸음을 옮겨도 손님이 드물기는 마찬가지였다. 거리마다 삼삼오오 모여 걷는 시민들을 쉽게 볼 수 있었지만, 정작 음식점 안에 자리를 잡고 식사를 하는 시민들은 찾기 어려웠다.

한편, 정부는 지난 14일부터 거리두기 수준을 2단계로 완화하고 마스크 착용, 이용 인원 제한 등 핵심 방역수칙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방역수칙을 발표했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시설에서는 의무화된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켜주기 바란다”며 "카페에서는 한 칸 띄어 앉기로 (이용) 인원을 줄여주고 음식점에는 칸막이 설치를 권한다. 또 학원과 실내체육시설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사람 간 거리두기를 지키고 PC방에서도 한 칸 띄어 앉고 음식 섭취 없이 이용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도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거리두기 완화 조치에 대해 “장시간 영업 중지와 제한으로 생계의 위협에 직면한 분들에게 무작정 희생만을 강요할 수 없는 상황이 방역 조치를 조정할 수밖에 없는 또 다른 이유가 되었다“며 ”이번 방역 조치 조정으로 영업에 조금이라도 숨통이 트이고, 생업을 지켜나가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