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10명 가운데 8명이 횡단 도중 교통사고
어린이보호구역 내 사망사고 모두 취학 전 아동
행안부, 내년까지 무인교통단속장비 등 개선 계획

[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행정안전부 등 관계 기관이 내년 말까지 교통사고가 많은 어린이보호구역의 개선에 들어간다.

서울 송파구의 한 어린이보호구역. (사진=뉴스포스트 이별님 기자)
서울 송파구의 한 어린이보호구역. (사진=뉴스포스트 이별님 기자)

행정안전부는 도로교통공단 등과 지난 9월 13일부터 9월 28일까지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어린이보호구역을 대상으로 관계기관 합동점검을 했다고 3일 밝혔다. 점검은 지난해 어린이 교통사고가 2건 이상 발생했거나, 사망사고가 일어난 어린이보호구역 36개소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사고유형 분석 결과 피해 어린이 10명 가운데 8명이 횡단 도중 사고를 당했다. 가해 운전자 10명 가운데 6명이 보행자 보호의무 위반과 안전운전 불이행으로 어린이보호구역에서 교통사고를 냈다.

피해 어린이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취학 전(18.2%) △1학년(15.6%) △2학년(15.6%) 순으로 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사망사고 3건 모두 취학 전 아동(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안전표지 미설치 등 시설 미비 △과속·불법 주정차 등 운전자 법규 위반  △교차로 구조 부적합 등 위험요인 총 264건도 확인됐다.

행안부는 안전표지 설치 등 단기간에 개선이 가능한 219건(83%)에 대해 정비계획을 수립해 연말까지 마무리할 예정이다.

교차로 구조개선 등 예산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45건(17%)은 내년도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에 반영해 정비한다.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한 어린이보호구역은 무인교통단속장비를 우선적으로 설치할 방침이다.

한편, 이번 점검대상 어린이보호구역 36개소 가운데 28개소 44개 지점에 단속장비가 이미 설치된 상황이다. 내년까지 5개소 22개 지점에 단속장비를 추가로 설치해 총 66개 지점에 설치가 완료될 예정이다. 단속장비가 인근 지역에 이미 설치돼 있거나, 도로 폭이 좁은 이면도로 구간으로 설치가 곤란한 나머지 3개소는 과속방지턱 등 안전시설을 보강한다.

이용철 행안부 안전정책실장은 “어린이가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전까지는 우리 어른들의 적극적인 보호가 필요하다”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어린이들의 보호자라는 인식을 갖고 운전하실 때 각별히 주의해 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