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인허가 면적, 전년 동기 대비 14.0% 증가 청신호
우크라發 원자재값 고공행진…장기화땐 비용부담 증가

[뉴스포스트=이병우 기자] 새 정부의 부동산 규제완화, 건축부문 투자 활성화 전망 등으로 건설업계에 ‘청신호’가 켜졌다. 이에 건설사들이 향후 호재를 예상하면서도, 중‧장기적으로 발생하는 ‘우크라이나 사태’, ‘건자재 원가 상승’ 등의 해결을 바라며 냉온탕을 오가고 있다.

자료=전국 건축 인허가/착공/준공 현황/출처 : 국토교통부
자료=전국 건축 인허가/착공/준공 현황/출처 : 국토교통부

국토부 “향후 건축부문 투자 활성화 예상”

국토교통부가 2022년 1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면서, 향후 건축부문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착공‧준공은 15%이상씩 감소했고, 이는 코로나19 등 여파로 감소한 것으로 보았다.

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2년 1분기 전국 건축 인허가현황을 집계한 결과, 전년 동기 대비 ▲인허가 면적은 14.0% 증가 ▲착공·준공은 각각 15.8%, 16.4% 감소했다.

국토부는 “올해 3월말 기준 전국의 인허가 면적은 40,751㎡로 아파트, 공장 등의 증가로 인해 전년 동기(35,732천) 대비 5,019천㎡ 증가했고 동수는 5,072동 감소했다”며 “전국 착공 면적은 26,021천㎡로 전년 동기(30,911천㎡) 대비 4,890천㎡ 줄었다. 동수는 5,853동 감소했다”고 말했다.

이어 “전국 준공 면적은 26,372천㎡로 전년 동기(31,564천㎡) 대비 5,192㎡ 감소했고, 동수는 2,974동 줄었다”고 덧붙였다.

또 “이번 분기 건축 인허가 면적증가로 향후 건축부문 투자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하며, 착공과 준공은 코로나 등의 여파로 일부 감소했다”고 첨언했다.

최근 5년간 건축 인허가 ▲연면적 연평균 증가율은 0.5% 상승, ▲동수 7.0% 감소했다. 이는 규모가 큰 건축물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건설사들 전망은?

건설업계의 호재가 예상되는 가운데, 본지는 삼성물산과 DL이앤씨 측에 기업의 향후 전망과 전략이 어떻게 되는지 물었다.

삼성물산은 <뉴스포스트>와의 통화에서 새 정부 정책에 발맞춰 내실 있는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현재 구체적인 전략·계획이 나온 것은 아니다”며 “지금까지 내실 있는 성장(수주 등)을 해왔고, 기존과 동일한 방법으로 (성장을) 이어갈 것이다. 또 새 정부 정책에 대해서는 확인 및 분석하여 그 기준에 발맞춰 가고 있다”고 답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재개발재건축 상황을 고려하여 부동산 경기를 지켜볼 예정이다”며 “당사는 친환경사업, CCUS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는데, 앞으로 꾸준하게 추진할 계획이다. 원전관련해서도 공사실적이 있기에 원전을 새로 짓거나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면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뉴스포스트 DB)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뉴스포스트 DB)

‘청신호’에도 걷히지 않는 먹구름… 해결책은?

다만, 건설업계에 ‘청신호’가 켜졌음에도 불구하고 당장의 먹구름은 걷히지 않고 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 ‘건자재 원가 상승’ 등이 원인으로 꼽히는데, 건설업계는 이 사태들이 조속히 해결되길 바라고 있었다.

업계 관계자 A씨는 본지에게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모든 산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다만, 건설업이 다른 업계 대비 큰 포지션을 차지하고 있어 크게 다뤄지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태로 인해 대기업과 중견, 중‧소기업의 온도차가 조금 다를 것이다”며 “대기업은 대량발주 및 연단위로 계약을 진행하기에 중·소기업 대비 충격이 다소 낮을 것으로 본다. 하지만 이 사태가 지금보다 더 지속된다면 대기업 또한 영향을 받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B씨는 “(사태가)중‧장기로 돌입해 원가율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이로 인한 부담은 기업의 영업이익에 가해질 것인데, 현재는 반영되지 않은 상태로 영향이 없는 것처럼 보일 뿐 (반영된) 실적이 발표되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답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들은 개별 시공사 입장에서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이라며 낙담하기도 했다.

C씨는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오른 것을 공사에 반영하는 입장이기에 시공사 입장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없다”고 전했다.

D씨는 “개별업체가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계속적으로 공사비가 상향된다면 둔촌주공과 같은 사태가 전국적으로 발생할 수 있고, 더불어 분양가상한제로 인해 건설업계는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