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승객 “당연히 유지돼야 하는 제도” vs “유료화해도 부담 없어”
유임 승객 “65세 노인 아냐, 연령 높여야” vs “차등 할인 필요해”

[뉴스포스트=선초롱 기자] 우리나라는 만 65세 이상 노인들에게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노인 무임승차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100% 무료운임을 시행하는 곳은 국내뿐이다. 전편([소통광장-무임승차]② 노인 승차요금이 유료화 된다면?)에서도 언급했듯이 해외에서는 소득, 출퇴근 시간 제외 등 다양한 조건을 두고 할인율을 차등 적용 중이다. 이런 탓에 ‘노인 무임승차제도’의 개선과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지난 16일 탑골공원 앞에서 무료급식을 기다리는 노인들이 줄을 서고 있다. (사진=선초롱 기자)
지난 16일 탑골공원 앞에서 무료급식을 기다리는 노인들이 줄을 서고 있다. (사진=선초롱 기자)

노인 “무료이용 계속 가능해야…일부 유료화 수용 가능”

그렇다면 무임승차 혜택을 직접적으로 받는 노인들의 생각도 같을까. 지난 16일 <뉴스포스트>는 노인 이용객이 많은 종로3가역과 제기동역을 찾았다. 27도가 넘는 무더운 날씨 탓인지 노인들은 대부분 나무 아래 그늘에 앉아 부채질하며 더위를 식히고 있었다.

“노인 무임승차제도를 폐지할 수도 있다고? 말도 안 되는 소리. 나라를 위해 헌신해온 노인들을 위한 일이니 계속 유지돼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탑골공원 입구에서 만난 박은식(89·가명) 씨의 말이다. 서울 중랑구에 거주하는 박 씨는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 공원에 나오거나 친구들을 만나러 가는 등 기본적인 사회활동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노령연금으로 30만 원 정도를 받는다는 그는, 그 돈으로 끼니와 병원비 등을 해결한다. 거기에 교통비까지 더해진다면 밖으로 나오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옆에 있던 김길주(85·가명) 씨도 박 씨의 의견에 동의했다. 김 씨는 “지하철 운영사의 적자 문제를 왜 노인들한테서 해결하려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동안 유지되던 정책이 폐지된다면 노인들이 겪게 될 부담은 누가 책임져줄지….”라며 말끝을 흐렸다.

노인 무임승차제도의 개선·보안이 필요하다는 여론에 대해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노인들도 있었다. 제기동역 지하철 내에서 만난 이염덕(72·가명) 씨는 ‘노인 무임승차제도가 폐지되거나 요금을 일부 지불하는 등 제도적 변화가 있다면 어떨 것 같은지’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괜찮을 것 같은데요”라며 운을 뗐다.

그는 “요즘같이 집밖에 잘 못 나가 우울할 때 이거라도 있어서 좀 낫습니다. 더운 날 시원한 에어컨 바람이라도 쐴 수 있지 않습니까. 그리고 약재를 사러 시장에 종종 오기 때문에 노인의 부담을 줄여주는 좋은 제도라고 생각해요. 물론 요금을 지불할 능력은 있어서 할인율이 바뀐다고 해도 크게 부담은 없지만, 조금은 서운할 것 같기는 하네요.”라고 말했다.

약령시장 가판에서 만난 김순이(86·가명) 씨도 노인 무임승차제도 변경 여론에 크게 개의치 않는 눈치였다. 김 씨는 “요즘 노인센터 문도 잘 안 열고 해서 친구들 만나러 시장으로 나오고는 해요. 집에 있으니 자식들 눈치도 좀 보이고요. 지원 덕분에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도 좋기는 하지만, 적자가 그렇게 심하면 좀 조정해도 되지 않을까요?”라며 반문했다.

노인들은 제도가 유지돼야 함에 대해선 모두 찬성했지만, 차등 적용에 대해서는 상반된 입장을 나타냈다. 교통비용이 부담스럽게 다가올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반면 경제적으로 여유로운 편에 속하는 노인들은 크게 개의치 않는 모습이었다.

지난 16일 서울 1호선 제기동역을 이용하는 노인 승객들의 모습. (사진=선초롱 기자)
지난 16일 서울 1호선 제기동역을 이용하는 노인 승객의 모습. (사진=선초롱 기자)

유임 승객 “필요한 제도인 건 분명…차등 할인율 필요”

요금을 지불하고 지하철을 이용하는 일반 승객들도 ‘노인 무임승차제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이었다. 다만 노인 연령을 조정하거나 출퇴근 시간을 제외하는 등 차등을 둔 할인율 적용이 필요하다는 데에는 입을 모았다.

주로 5호선을 이용해 출퇴근한다는 김창범(36·가명) 씨는 “노인을 위한 최소한의 복지인 건 맞죠. 다만 65세는 더 이상 노인으로 보기 힘들지 않을까요? 평균연령이 높아지고 노인 인구가 증가하는 만큼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 변화는 필요하다고 봅니다.”라고 말했다.

노인으로 정의될 나이에 다다랐다는 김순임(63·가명) 씨의 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김 씨는 “2년 뒤 노인 인구에 합류하겠지만 삶이 지금과 크게 달라질 것 같지는 않아요. 지금처럼 당당하게 요금을 내고 눈치 보지 않고 지하철을 이용하는 게 더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필요하다면 소득에 따라 지원을 해주거나 출퇴근 시간에는 할인하지 않는 등의 조정이 있으면 될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아르바이트를 하러 가는 중이라던 박민정(22·가명) 씨는 “철도 운영기관의 적자 원인이 모두 노인 무임승차 때문인 것 같지는 않아요. 그동안 뉴스에서 보도되던 철도 운영기관의 방만한 경영도 한몫했겠죠. 재정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지하철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했다는 점도 원인으로 꼽을 수 있겠네요. 운영기관은 운영기관대로, 정부는 정부대로, 자구책을 마련해야 할 것 같아요.”라며 의견을 전했다.

‘노인 무임승차제도’가 노인복지법에 따른 최소한의 교통복지로 규정되는 만큼 ‘폐지’를 외치는 이들은 눈에 띄지 않았다. 대부분 폐지보다는 제도적인 보완이 이뤄지는 것이 문제로 떠오른 철도 운영사들의 적자 해소 및 노인을 위한 복지를 유지할 방법이라고 입을 모았다.

지난 16일 서울 지하철 1호선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 승객이 교통약자배려석에 앉아 있다. (사진=선초롱 기자)
지난 16일 서울 지하철 1호선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 승객이 교통약자배려석에 앉아 있다. (사진=선초롱 기자)

지하철은 노인들이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훌륭한 이동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쾌적한 내부 환경은 물론 교통사고 위험도 낮아 ‘훌륭한’ 대중교통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다만 노인 인구가 급증하는 현재 상황에서 현행대로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시대에 맞는 해결방안이 제시돼야 할 시점이다.

다음 편에서는 ‘노인 무임승차제도’를 둘러싼 찬반양론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본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