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온라인채널 가입 비중 40.7%로 대면채널 39.9% 앞질러

[뉴스포스트=주가영 기자] 금융의 디지털화가 가속하면서 인터넷을 통한 개인용 자동차보험 가입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보험개발원)
(사진=보험개발원)

 

14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용 자동차보험 가입의 온라인채널(CM) 비중이 40.7%로 보험 설계사 등 직접 영업을 통한 대면 채널(39.9%)보다 0.8% 포인트 높았다고 밝혔다.

전화 영업(TM) 채널의 점유율은 19.4%에 그쳤다. 지난 2017년까지만 해도 개인용 자동차보험 가입 대수는 대면 채널의 비중이 51%로 전화 영업이 24.6%, 온라인채널이 24.4%였다.

연령별 개인용 자동차보험의 온라인채널 가입률을 살펴보면 30대가 61.8%로 가장 높았다. 이어 20대가 57.4%, 40대가 48.2%로 20~40대 연령층을 중심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이 기간 수입보험료 비중은 대면(46.1%), CM(36.0%), TM(17.9%)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보험가입대수 기준으로는 CM채널 비중이 40.7%, 대면채널이 39.9%, TM채널이 19.4%의 비중을 각각 차지했다.

개발원은 CM채널의 성장을 인터넷 사용에 익숙하고 가격에 민감한 20~40대 연령층이 견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연령대별 CM가입률은 30대(62%), 20대(57%), 40대(48%), 50대(30%), 60대(27%) 순이다.

빅데이터 연계를 통한 차량정보통합서비스(VeTI)의 활용으로, 자동차 세부사양을 모르더라도 차량번호만 알면 보험료 산출이 가능하고 소요시간도 단축돼 인터넷 가입이 수월해진 영향도 작용한 것으로 평가했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소비자가 인터넷으로 직접 보장내용을 설계하는 경우 사고 발생시 충분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운전자 범위, 담보별 가입 여부와 보상한도 등 나에게 적합한 보장범위를 알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마일리지나 블랙박스 등 보험료를 할인받을 수 있는 특약 가입이 누락되지 않았는지 잘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