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RS17 적용 첫 성적표…삼성생명‧화재‧메리츠‧KB손보 웃었다
당국, 부풀리기 의혹에 CSM 산출 가이드라인 마련 예고

[뉴스포스트=홍여정 기자] 국내 주요 보험사들이 새 회계기준인 IFRS17를 적용한 첫 성적표를 받았다. 계약서비스마진(CSM) 개념이 새롭게 도입되며 지난해 대비 실적이 크게 증가한 곳도 있었다. 다만 CSM 산출 과정에서 보험사 별로 자율적인 기준을 반영하고 있어 실적 부풀리기 의혹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금융당국이 CSM 산출에 대한 세부 기준을 마련하기로 한 만큼 앞으로의 실적에 영향이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16일 업계에 따르면 1분기 전체 보험사의 순이익은 약 7조원으로 추정된다.

손보업계 1위인 삼성화재의 올 1분기 순이익은 분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인 6133억원이다. DB손해보험은 4060억원, 메리츠화재 4047억원, 현대해상 3336억원, KB손해보험은 2538억원이다. 롯데손해보험도 794억원의 순이익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생보업계에서는 삼성생명이 706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63.3% 증가한 수치다. 교보생명은 5003억원, 한화생명은 4226억원을 기록했다.

각 사별로 희비가 엇갈렸지만, 1분기 총 순이익 규모는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지 난해 보험업계 전체 순이익은 9조2000억원이다. 업계에서는 올해부터 적용된 새 회계기준인 IFRS17이 이번 1분기 실적에 크게 영향을 줬다고 보고 있다.

IFRS17은 보험사의 부채평가 방식이 기존 원가에서 시가로 변경되는 것이 골자다. 이에 새로운 수익성 지표인 계약서비스마진(CSM) 확보가 중요해졌다. CSM은 미래에 예상되는 이익을 현재 가치로 환산한 것이다.

다만 CSM 산출 과정에서 각 사별로 자율성을 부과하면서 계리적 가정이 달라짐에 따라 실적이 갈리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CSM 값을 과도하게 자사에 유리하게 책정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CSM 산출 가이드라인 마련을 예고했다. 지난 11일 금융감독원은 차수환 보험 담당 부원장보 주재로 23개 보험사 최고재무책임자(CFO)를 긴급 소집해 간담회를 가졌다.

이날 차 부원장보는 “IFRS17은 회사별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부여하고 있으나, 이러한 자율성이 적절히 관리되지 않을 경우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가 있다”며 “각 보험사들이 회계상 기초 가정을 합리적으로 설정할 것”을 당부했다.

업계도 당국의 가이드라인 제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용범 메리츠화재 대표이사 부회장은 전날 진행된 메리츠금융지주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우리나라 보험은 상품 구성과 내용이 대동소이해 가정이 달라질 이유가 없다”며 “규제당국에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조만간 내놓으면 혼란이 줄어들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새 회계제도 개념은 보험사 관계자들도 어렵게 느끼고 있다”이라며 “회사마다 기준을 두는 부분이 다른 상황에서 금감원 가이드라인이 나오는 만큼 올해까지는 수치가 계속 수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