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8일 여야 간사 협의 통해 최종 명단 채택
대규모 횡령·불법계좌 적발 등 내부통제 주요 안건 예고
IMF·WB 총회 참석에 지주 회장들 국감 참석은 불투명
[뉴스포스트=이해리 기자] 한 달 앞으로 다가온 21대 국회 마지막 국정감사에 주요 금융사 수장들이 증언대에 오를지 주목된다. 이자 장사·성과급 잔치에 대한 비판에 이어 대규모 횡령 등 직원 비위 행위가 잇따라 적발되면서 금융사의 부실한 내부통제에 대한 책임론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감에서는 증인으로 채택된 5대 금융지주 회장 전원이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 총회 참석으로 은행장들을 대신 출석시켰다. IMF·WB 총회에 참석하면서 국감 소환을 피한 탓에 국감 회피 수단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올해 IMF·WB 총회는 다음 달 10~15일 예정돼 있어, 방문 일정이 겹칠 경우 금융지주 회장들의 국감 출석은 이번에도 불투명하다.
14일 금융권 및 정치권에 따르면 정무위원회 여야 간사는 오는 18일까지 협의를 통해 국감 증인·참고인 최종 명단을 채택할 계획이다.
올해 국정감사는 10월 10일부터 27일까지 열리며,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국감은 각각 12일, 16일 진행된다. 금융위와 금감원을 동시에 하는 종합감사는 27일 치러진다.
최근 은행을 비롯한 주요 금융사에서 임직원들의 횡령과 부당이익 편취 등의 사고가 연달아 발생해 이번 정무위 국감에서는 대형 금융사고 이슈가 정조준될 것이란 예측이 나온다.
올해 은행권에선 지난달 2일 경남은행 직원의 1000억 원대 횡령과 같은 달 9일 KB국민은행 직원들의 상장사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100억 원대 부당이득 취득, 10일 DGB대구은행의 고객계좌 불법 개설 등의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이재근 국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조병규 우리은행장, 이성용 농협은행장 등 시중은행장들의 증인 채택이 거론되고 있으며 황병우 DGB대구은행장과 예경탁 BNK경남은행장 등 지방은행장들도 국감에 소환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앞서 금융당국은 2022년 우리은행에서 700억 원대의 대규모 횡령 사고가 적발된 이후, 은행들에게 금융사고 발생 예방을 위한 내부통제시스템 재점검을 요청한 바 있다. 하지만 이후에도 큰 개선 없이 횡령 사고가 지속 발생해 정치권의 강도 높은 질타가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은행 내부통제 실패의 최종 책임자인 지주 회장을 국감에 불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금융위는 금융사 최고경영자(CEO)까지 문책할 수 있도록 내부통제 관련 임원별 책임 범위를 사전에 확정하는 내용의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개정안'을 의원 입법으로 추진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권의 내부통제 부실 문제가 이슈인 만큼 은행장들을 줄소환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지주 회장의 IMF·WB 총회 참석 일정은 나온 게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