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상진 기자] 르노삼성자동차 노사의 임단협이 합의점을 찾지 못하며 타결에 난항을 겪고 있다. 국내 5개 완성차 회사 가운데 르노삼성자동차만이 유일하게 지난해 임단협을 마무리 짓지 못한 채 현재까지 답보상태를 이어가는 중이다. 이에 정부와 정치권이 발 벗고 나섰으나 뚜렷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르노삼성자동차 노사는 지난달 28~29일 이틀 간 집중교섭에 이어 지난 1일 장장 7시간30분 동안 마라톤협상에도 임단협의 결론을 내지 못했다. 노사는 △외주화금지 △강제전환배치금지 △노동강도완화 등 세 가지 쟁점사안을 두고 맞서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는 지난 10일 “르노삼성자동차(주) 파업사태 관련 현황 및 협력업체 모니터링 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는 르노삼성 노사 임단협의 장기화로 지역경제에 2100억원 규모의 타격이 있었다고 분석했다.
부산공의는 르노삼성 노조의 ‘파업사태’로 르노삼성의 매출이 감소하고 협력업체가 피해를 입고 있다고 주장했다. 임단협 장기화의 원흉으로 르노삼성 노조를 지목한 것이다.
부산공의 주장에 대해 노조 관계자는 <뉴스포스트>와의 통화에서 “부산공의는 임단협 장기화로 협력업체 피해가 일어난다고 주장하지만, 이대로 진행되면 협력업체에 앞서 우리조합원들이 가장 먼저 죽을 것”이라며 “임단협 장기화의 가장 큰 피해자들은 우리조합원이지만 고용안정을 위해 양보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임단협 장기화에 지난달 오거돈 부산시장이 르노삼성자동차 노사 관계자들을 찾은 바 있으나, 쟁점사안을 사이에 둔 르노삼성차 노사의 팽팽한 줄다리기를 멈추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지난 11일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도 르노삼성자동차 부산공장을 찾아 도미닉 시뇨라 르노삼성자동차 대표이사와 박종규 르노삼성자동차 노조위원장 등을 만나 조속한 임단협 타결을 촉구한 바 있다.
당시 이재갑 장관은 르노삼성자동차 노사 대표들을 만난 뒤에는 부산시청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이 장관은 이 자리에서 오거돈 부산시장과 르노삼성자동차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공장을 찾은 이 장관의 당부에 노사는 다음 주 중으로 다시 협상테이블에 앉을 일정조율에 나설 예정이다. 하지만 노사 양측 모두 쟁점사안들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밝혀 르노삼성자동차의 임단협 타결은 단기간 내에 해결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주재정 르노삼성자동차 노조 수석부위원장은 <뉴스포스트>에 “16일에 교섭을 재개한다는 일부 언론보도는 오보”라며 “사퇴한 본부장 후임내정하는 절차에만 시간이 상당히 걸릴 것이기 때문에 교섭은 16일 이후에나 재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9일 르노삼성자동차 사측 대표였던 이기인 부사장이 임단협 장기화에 사퇴한 것을 염두에 둔 말이다.
주 부위원장은 또 이재갑 노동부 장관의 방문에 대해서는 “좋은 말은 다 하고 가셨는데 이렇다 할 획기적 일침이나 주문사항은 없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