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별님 기자] 택배 노조가 추석 연휴를 앞두고 분류 작업 전면 거부를 하겠다고 입장을 밝힌 지 하루 만에 이를 철회하기로 했다. 정부가 마련한 대책안에 택배 노조가 화답한 것이다. 추석 물류 대란은 피할 수 있을 전망이나, 택배 노조는 대책안이 제대로 시행되지 않을 경우 다시 한번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8일 택배 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정부의 노력과 분류 작업 전면 거부로 국민의 불편함 등을 고려해 예정돼 있던 계획을 변경하기로 결정했다”며 오는 21일부터 예정된 분류 작업 전면 거부 돌입을 전격 철회했다.
대책위는 “곧바로 각 택배사와 대리점에 분류 작업 인력 투입에 따른 업무 협조 요청을 발송하고, 23일부터 분류 작업 인력 투입에 따른 출근 시간을 오전 9시로 조장할 계획”이라면서도 “정부와 택배 업계가 약속한 분류 작업 인력 투입이 진행되지 않을 경우 다시 한번 특단의 조치를 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고 설명했다.
앞서 고용노동부와 국토교통부, 택배 업계는 전날인 17일 다가오는 추석 성수기 택배 분류 인력 등을 하루 평균 1만여 명을, 간선수송차량은 2,555대와 택배기사 및 차량을 5,200명 추가 투입하기로 대책안을 마련했다. 또 종사자가 원할 경우 물량 또는 구역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건강검진 및 의료 상담을 지원한다.
정부의 대책안은 같은 날 대책위가 오는 21일부터 전국의 약 5천 명의 택배 노동자가 택배 분류 작업 전면 거부에 돌입한다고 밝히면서 나왔다. 대책위는 기자회견을 통해 “분류 작업이 택배 노동자들의 장시간 노동의 주 원인”이라며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하기 전까지는 분류 작업 거부 방침을 철회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실제로 코로나19 사태 발발 이후 택배 물량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의원에 따르면 올해 6월 물동량은 2억 9천여 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6.3%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된 올해 2월 물동량은 전년 대비 31.6% 증가한 2억 4천여 개를 기록했다. 폭발적으로 증가한 물량에 상반기에만 택배 노동자 7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분류 작업이 이뤄지지 않으면 물류 대란은 불을 보듯 뻔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분류 작업 거부 철회 의사를 밝히기 전인 이날 이른 오후 <뉴스포스트>와의 통화에서 “분류 작업만 거부하는 것이지 배송 일은 한다”면서도 “배송이 지연될 수는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하지만 정부의 대책 마련으로 택배 노동자들의 분류 작업 거부로 올 수 있었던 추석 물류 대란은 잠정 일단락됐다. 대책위는 “노동자의 과로사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다소 미흡하지만, 정부의 의지와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