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 ‘자영업자 실태조사’ 결과 발표
자영업자 10명 중 4명, 폐업 고려…“1년 이내 예상”
소상공인연합회 “더 이상 물러날 곳 없는 상황”

[뉴스포스트=선초롱 기자] 코로나19 4차 대유행과 거리 두기 장기화로 자영업자들의 경영상황에 빨간불이 켜졌다. 자영업자 10명 중 4명이 폐업을 고려하는 등 극심한 상황으로, 이를 방치할 경우 자영업자의 도미노 폐업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소상공인단체는 업종별·단계적 방역 체계 개편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 동작구 숭실대입구 근처에 위치한 상가들이 즐비한 거리의 모습. (사진=뉴스포스트 선초롱 기자)
서울 동작구 숭실대입구 근처에 위치한 상가들이 즐비한 거리의 모습. (사진=뉴스포스트 선초롱 기자)

한국경제연구원이 1일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자영업자(500명)를 대상으로 ‘자영업자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10명 중 4명(39.4%)은 현재 폐업을 고려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년 이내 폐업을 예상하는 자영업자 비중이 91.4%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폐업을 고려 중인 자영업자의 경우,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 3개월 이내 폐업을 예상한다고 답변한 비율이 33.0% 높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3~6개월 32.0%, 6개월~1년 26.4%, 1년~1년 6개월 8.1% 등의 순이었다. 자영업자 대부분(94.6%)은 경영부진을 폐업 고려 사유로 꼽았다. 매출액 감소가 45.0%로 가장 높았고, 이어 고정비 부담(26.2%), 대출 상환 부담 및 자금 사정 악화(22.0%)가 뒤를 이었다.

실제로 자영업자 중 90%는 올해 상반기 대비 4차 대유행 이후 월평균 매출액이 감소했다. 매출 감소 폭은 평균 26.4%로 나타났다. 매출뿐만 아니라 순이익도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4차 대유행 이전보다 월평균 순이익이 감소했다는 응답 비중이 89.2%, 순이익 감소 폭도 25.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자금 사정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정책지원 방안으로 ‘거리 두기 지침에 따른 영업손실 보상 확대’(28.4%)를 가장 우선돼야 할 사안으로 봤다. 이어 임대료 직접 지원(24.9%), 백신 접종 확대(16.5%), 대출 상환 유예 만기 연장(12.7%) 등을 주요 정책 과제로 꼽았다.

한국경제연구원이 1일 발표한 ‘자영업자 실태조사’ 결과. (자료=한국경제연구원)
한국경제연구원이 1일 발표한 ‘자영업자 실태조사’ 결과. (자료=한국경제연구원)

“거리두기 연장 분노, 재난지원금 효과는 업종별 차이 커”

소상공인연합회 측은 뉴스포스트와의 통화에서 “자영업자들은 더 이상 물러날 곳이 없는 상황에 처했다”며 “질병관리청과 중기부 등에서 위드 코로나 언급이 있어 기대했지만, 거리 두기 연장 수순으로 흘러가는 것 같아 일선 현장에선 강한 불만과 분노를 표출하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많은 자영업자들이 폐업을 고려할 정도로 어려운 상황에서 정부로부터 지원받은 희망회복자금이 도움이 된 것은 맞다. 하지만 사각지대에 놓인 소상공인들(매출이 조금 올랐다는 이유, 배달이 증가했다는 이유 등)은 지원을 받지 못한 경우가 많다”며 “거리 두기 등 방역지침이 길어지는 상황에서 이에 맞는 손실 보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음 주 (전 국민을 대상으로) 재난지원금이 지급되는 것에 기대를 걸고 있지만, 실제로는 영업인원 제한이 그대로인 상태라 도움이 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며 “지난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외식업종 등에서 소비한 부분은 전체의 35% 정도로 생각보다 크지 않았다. 이번에도 전체적인 업종까지 돌아가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