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 청소년쉼터 시설이전 예산 9억원…강남구 내 전세 못 구해
청소년쉼터 관계자 “구청, 시설 운영 의지 없다고 밖에 볼 수 없어”
강남구청 관계자 “1년 넘게 매물 찾아…향후 폐쇄 계획 변동 없다”

[뉴스포스트=홍여정 기자] 가정 밖 청소년을 위해 운영되던 강남구의 청소년쉼터가 예산 부족으로 폐쇄위기에 처했다. 해당 쉼터는 임대 계약 만료일이 다가오면서 장소 이전 계획을 가지고 있었지만 최근 강남구로부터 시설 폐쇄 입장을 통보받게 된 것. 쉼터 측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계속 운영을 해달라는 글을 올리며 호소하고 있지만 강남구의 입장은 변함이 없는 상황이다.

(사진=청와대국민청원게시판 갈무리)
(사진=청와대국민청원게시판 갈무리)

지난 3일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에는 ‘부동산 폭등으로 인한 사회복지시설(청소년쉼터) 폐쇄를 막아주세요’라는 글이 올라왔다. 

청원인 A씨는 해당 글에서 “최근 장소이전 계획을 가지고 있던 청소년쉼터는 강남구청으로 시설폐쇄를 전달받았다”며 “현재 무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장소에 새로운 장소를 마련해줄 것을 2018년도부터 지속적으로 요청했고, 올해 6월까지만 하더라도 강남구청 관계자 및 담당자와 함께 부동산 전세 매물을 찾아다녔지만 시세가 15~20억 원으로 형성돼있는 상황에서 9억 원이라는 시설이전 비용으로는 턱없이 부족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강남구는 월세로 변경해주거나 지차체 건물을 임대해주려는 노력을 하지 않고 폐쇄한다는 입장만 표명하고 있다”며 “시설이전 비용이 부족해 가정 밖 청소년을 보호하는 시설을 폐쇄하는 상황이 너무 답답하고 참담하다”라고 덧붙였다.

강남구청소년쉼터는 지난 1998년 1월 개소했다. 만 10세에서 19세 남자 위기청소년들을 일시 및 단기 보호하는 청소년 사회복지시설이다.

(사진=강남구 청소년쉼터 홈페이지 갈무리)
(사진=강남구 청소년쉼터 홈페이지 갈무리)

쉼터 관계자는 뉴스포스트와의 통화에서 “계약 종료가 9월 22일인데 구에서 한 달도 안남은 시점인 8월 27에 폐쇄 통보가 왔다. 한참 이전 장소 알아보다가 운영 중지라는 통보를 받게 되니 어떻게 받아들여야 되는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이 관계자는 “6월까지도 매물을 찾으러 다녔다. 처음에 9억 원이라는 예산으로 찾다보니 당연히 맞는 매물이 없었다. 이후 금액을 올려서 찾아보자는 이야기가 나왔지만 그건 실질적으로 예산 반영이 안 됐던 상태였다. 약 15억 원 정도의 매물 2~3건 정도 봤지만 거기서 끝이었다. 그런 상황에 구청에서 매물 찾는 것을 잠시 멈추라고 했고, 시간이 흘러 지난달 폐지 통보를 받게 된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구청에서도 강남구에 있는 건물을 활용하려고 했던 것 같은데 안 됐다. 전셋값이 문제라면 월세로라도 하자고 대안을 제시했지만 받아들이지 않았다. 원래대로라면 강남구에서는 6월부터(계약 종료 3개월 전) 위탁 기관 공고도 냈어야 하고 장소도 그 전에 알아봐서 준비를 했어야 한다. 그것도 안 하고 있다가 갈 곳이 없다고 폐지한다고 하니 시설 운영 의지가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현재 강남구청은 법인에 12월 31일까지 연장해달라는 공문을 보낸 상황이다. 이사회에서 통과해야 확정되는데, 현재 법인에서는 ‘이렇게 문 닫는 것은 아닌 것 같다’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그래서 올해 12월 말이 아니라 내년 12월까지 현재 있는 곳을 무상으로 빌려주는 안을 생각하고 있다. 그 안에 위탁기관도 찾고, 예산 확보해서 장소도 다시 찾아보라는 뜻이다. 오는 16일 이사회 결정을 통해 구에 공문을 보낼 텐데 그때 강남구가 어떤 대답을 내놓을지 궁금하다”라고 말했다.

일부 보도에서 나온 ‘민원 때문에 쉼터 계약이 어려웠다’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저희도 같이 매물 알아봤다. 거기 있는 사람들이 시설 들어오는 게 싫었다면 매물도 안 보여줬을 것이다. 그런 경우는 없었다. 다만 쉼터 시설 기준이 까다롭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있어서 어려움을 표시한 적은 있다. 단순히 시설 반대하는 민원 때문이라는 주장은 납득하기 어렵다. 그리고 민원이 발생했다면 청소년들을 위해 구에서 오히려 설득 해야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반문했다.

이어 “강남구가 추진하고 있는 아동친화도시에 사각지대 청소년은 외면당하고 있다. ‘친화’는 가정에 문제없는 친구들만이 대상인가. 반대 상황의 친구들은 다 떠나라는 말인가. 강남구가 생각하는 복지는 무엇인지 궁금하다”라고 일갈했다.

한편 강남구청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지난 1년 간 이전 장소를 찾아 다녔지만 결과적으로 찾지 못했고, 시설 폐지를 통보했다. 추경 예산도 감안해 좀 더 올린 액수로 알아봤지만 적합한 매물은 없었다. 가격 문제도 있었지만 주변 민원 상황도 고려해야 했다. 청소년쉼터는 가출 청소년도 들어오는 곳이라 일부 주민들에게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보일 수 있다. 구청 입장에서는 한두 가구라도 반대하면 결정하기 어렵다. 아직까지 시설 운영 종료에 대한 계획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