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스트=이병우 기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 파업이 닷새째 이어지면서, 건설‧건자재 업계가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파업 장기화가 결국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쌓여있는 화물컨테이너.(사진=뉴시스)
쌓여있는 화물컨테이너.(사진=뉴시스)

시멘트·레미콘 업계, 하루 손실 150억 원 이상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산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그 중 시멘트 업계의 하루 피해액은 약 150억 원 이상으로 추정되며, 중장기적으로 이어진다면 건설·건자재 업계의 손실은 더욱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10일 건자재 업계에 따르면 이번 파업으로 인해 시멘트 등 건자재 출하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고, 그 피해는 막심한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뉴스포스트>와의 통화에서 “파업으로 인해 시멘트 출하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태다”며 “하루 빨리 파업이 종료되고 정상화돼 운송이 재개 됐으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또 다른 건자재 업계 관계자는 이 같은 사태는 예견됐었다고 설명했다.

관계자는 “기름 값, 물류 값 등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이 여파는 운송업에서 가장 크게 부담스러워 하는 부분이다”며 “전부터 예견된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산업 분야의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고 있기에 서로(노조·기업·정부)의 의견이 잘 조정돼 완만한 결과가 도출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기사와무관.(사진=뉴시스)
기사와무관.(사진=뉴시스)

“파업 중‧장기화 땐 건설업계 셧다운”

현재는 건자재 기업들 중 시멘트와 레미콘 업계에 큰 피해가 발생했지만, 파업이 중‧장기화 될 경우 건자재 업계 전반을 비롯해 건설업계까지 먹구름이 드리울 것으로 보인다.

건자재 기업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아직까지 큰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상황이다”며 “하지만 화물연대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원재료 수급 지연으로 제품 생산에 일부 차질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당사는 비축해 놓은 원재료 재고를 적극 활용하는 등 화물연대 파업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에 힘 쓸 계획이다”고 했다.

건설업계도 상황은 비슷했다. 만약 화물연대 파업이 중‧장기화로 이어질 경우 전국 공사현장 셧다운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본지에게 “현재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해 건설현장(콘크리트 타설 작업 현장)의 공사가 지연되는 현상들이 발생하고 있다”며 “다행히 기존 공사가 시작된 곳들은 자재들을 비축해 둔 상황이기에 차질이 덜한 상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이 같은 상황이 중‧장기적으로까지 이어진다면 모든 공정에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며, 전국 건설현장의 셧다운까지도 고려해 볼 수 있는 상황이다”고 덧붙였다.

또 화물연대 파업이 지속된다면 원가 상승은 불가피할 것이고, 이로 인해 아파트 분양가 상승을 배제할 수 없다고 첨언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공사현장의 피해 여부는 개월 단위로 가늠하지 않고 년 단위로 본다”며 “현재는 건자재 일부 수급 불안으로 공사가 잠시 멈추는 단계에 그치겠지만, 파업이 중장기화로 접어들 시 건설업계의 수익률은 점차 줄고 이는 향후 분양가 상승까지 이어지는 부분이다”고 말했다.

최근 건설‧건자재업계가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 ‘원자재 가격 상승’, ‘중국 봉쇄’ 등으로 난항을 겪는 가운데, 화물연대의 파업까지 도래돼 살얼음판을 걷는 상황. 정부와 기업, 노조 간의 긍정적인 협상이 조속히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날 윤석열 대통령이 화물연대 파업에 대해 입을 열었다.

업계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정부가 법과 원칙, 그 다음에 중립성을 가져야만 노사가 자율적으로 자기의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는 역량이 축적돼 나간다”며 “노사관계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을 가져야만 노사가 자율적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정부가 늘 개입해 여론을 따라가서 노사문제에 깊이 개입하면 노사 간에 원만하게 풀어갈 수 있는 능력이 축적되지 않는다”며 “노동에 대해 적대적인 사람은 정치인이 될 수 없는 것 아니겠는가”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