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후 4년간 매출·수주잔고·생산능력 등 2배 성장"
[뉴스포스트=최종원 기자]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 사장이 20일 "배터리 시장의 장기 성장성은 굳건하나 주요 국가의 정책 변동성 확대 등에 따라 단기적으로 부침을 겪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이 시기가 지나면 '진정한 승자'가 가려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이날 열린 LG에너지솔루션 주주총회에서 "출범 이후 4년간 매출액, 수주잔고, 글로벌 생산 능력, 북미 점유율 모두 2배 이상 성장이라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뤄냈다"고 강조했다.
이어 "업계에서 가장 많은 생산거점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글로벌 오퍼레이션 역량을 높였을 뿐 아니라, 지난 4년간 연평균 28%의 수주잔고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작년말 기준 약 400조원에 달하는 수주 잔고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김 사장은 또 "R&D 역량을 꾸준히 키워온 결과 전 세계 주요 시장에 출원한 7만여건의 특허를 바탕으로 압도적 기술리더십을 축적해왔다"며 "공급망 측면에서도 장기 공급계약∙지분투자 등을 통해 고품질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변화와 대응 전략 발표에선 "현재의 시기를 ▲제품 및 품질 경쟁력 강화 ▲구조적 원가 경쟁력 확보 ▲미래 기술 준비 등 근본적 경쟁력을 높이는 기회로 삼겠다"며 "설비 투자 및 사업·고객·제품 포트폴리오 등 면에서도 운영 효율화를 통해 질적 성장하겠다"고 강조했다.
원통형 46시리즈 관련 유의미한 사업 성과도 밝혔다. 김 사장은 "애리조나 법인에서 주요 고객과 다년간 연 10GWh 규모로 46시리즈를 공급하는 계약을 맺는 성과가 있었다"며 "차별적 강점이 있는 46시리즈, 고전압 미드니켈, LFP, 각형 배터리 등을 중심으로 수주 모멘텀을 꾸준히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2028년에는 2023년 실적의 2배에 이르는 매출과 IRA 세액 공제를 제외한 10% 중반대의 EBITDA(법인세∙이자∙감각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 등 밸류업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김 사장 및 주요 경영진, 주주 및 기관 투자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제5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했다. 김 사장은 신임 의장으로서 사업 성과, 전략과 비전을 밝혔다.
이날 주주총회에서는 ▲제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이사 선임의 건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등 총 3개 안건 모두 원안대로 의결됐다.
- [르포] 韓·中·英·네덜란드 배터리 소부장 각축전…잡페어 인기
- [르포] "캐즘, 그게 뭐죠" LG엔솔·삼성SDI·SK온의 자신감
- LG엔솔·삼성SDI·SK온 "캐즘 일시적, 전고체·LFP·AI 등 주력" [인터배터리]
- "한국판 IRA 필요" LG엔솔·SK온·삼성SDI의 호소 [트럼프 취임]
- LG에너지솔루션, 작년 4분기 적자 전환…"세액공제 제외시 6028억원 손실"
- [2024 산업 결산 ①] '반도체·배터리·디스플레이'…3대 산업, 업황 악화 직격탄
- [트럼프 시대] LG에너지솔루션, 'IRA·캐즘·중국' 삼중고 넘어설까
- 이한선 LG엔솔 전무 "배터리 특허 최다보유…도용에 강경 대응" [톺아보기]
- 김동명, LG엔솔 캐즘 위기 속 "성장 파트너 모색" [재계 동향]
- 김동명 "LG엔솔, 특허 확보 위한 투자·인재 육성 노력 지속" [재계 동향]
- 김동명 "LG엔솔, 中 체리기차에 원통형 배터리 공급 쾌거" [재계 동향]
-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 유럽 인재 확보 위해 팔 걷었다 [재계 동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