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 정거장’ 등 분리배출 시스템 활성화 필요

[뉴스포스트=이해리 기자] “분리수거? 아파트만 그나마 하는 척하고, 주택이나 빌라는 아예 되지 않는 것 같다. 정확한 분리배출 방법에 대한 홍보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모르겠다.” 

음식물 쓰레기가 주택 앞에 쏟아져있다. (사진=뉴스포스트 이해리 기자)
음식물 쓰레기가 한 주택가 앞에 쏟아져있다. (사진=뉴스포스트 이해리 기자)

지난 3월 영등포구 순환자원센터 관계자는 주택가에서 수거된 생활 쓰레기는 규정을 지키지 않고 배출된 것들이 많아 재활용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생활 폐기물의 분리수거율은 87.1%에 달한다. 하지만 이 분리수거율이 실제 재활용률은 아니다. 전문가들은 선별 후 실제 재활용이 되기까지의 비율은 30%에 불과한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재활용 선별 현장에서는 낮은 재활용률에 대해 분리배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주택가의 생활폐기물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주택가의 분리수거 실태는 어떤지 <뉴스포스트>는 지난 30일 서울 시내와 경기도의 한 주택가를 돌아봤다. 

방문하기 전날인 29일은 서울 해당 지역의 재활용품 배출일이었다. 들어선 지 5분 남짓 되었을까. 플라스틱 용기 안에 있던 음식물이 거리에 흩뿌려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 지역 배달원은 “다니다 보면 거리에 쏟아져있는 음식물 쓰레기들이 꽤 된다”면서 “전날이 쓰레기 배출일이었는지 알 수 있을 정도로 음식물뿐만 아니라 쓰레기들이 무질서하게 배출돼 있어 솔직히 거리가 지저분하다”라고 말했다. 

서울의 한 주택가에 놓인 재활용 쓰레기들. 음식물이 그대로 남아있다. (사진=뉴스포스트 이해리 기자) 
서울의 한 주택가에 놓인 재활용 쓰레기들. 음식물이 그대로 남아있다. (사진=뉴스포스트 이해리 기자) 

한 빌라 구석에 놓인 플라스틱 용기는 안에 음식물이 썩으면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해 팽창해 있었다. 접힌 치킨 상자 안을 열어보자 치킨 양념이 그대로 묻은 종이가 깔려 있었다. 기본적으로 재활용을 위해서는 내용물 등 이물질을 제거하고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모두 분리수거 규정을 지키지 않은 것들이다. 

이날 2시간 남짓 20여 곳을 둘러본 결과 올바르게 재활용품을 배출한 곳은 5곳이 채 되지 않았다. 음식물 쓰레기를 방치한 곳도 3곳에 달했다. 오염된 플라스틱이 가장 많았으며 이외에도 재활용이 어려운 상태의 오염된 종이, 테이프가 제거되지 않은 박스, 인형, 젖은 의류 등이 놓여있었다. 

경기도 주택가의 분리수거 및 쓰레기 배출 현장. 그물망 형태의 재활용 수거함이 턱 없이 부족해 보인다. (사진=뉴스포스트 이해리 기자)
경기도 주택가의 분리수거 및 쓰레기 배출 현장. 그물망 형태의 재활용 수거함이 턱 없이 부족해 보인다. (사진=뉴스포스트 이해리 기자)

경기도의 주택가도 비슷한 모습이었다. 재활용품을 공동으로 배출하는 공간은 이 지역 쓰레기들을 다 소화하지 못했으며, 제대로 관리가 되고 있지 않은 모습이었다. 

주택가에서 찾은 분리수거 봉투에 든 배출물. 일반 쓰레기와 뒤섞여 있다. (사진=뉴스포스트 이해리 기자)

이날 주민 B 씨는 “분리수거 제대로 한 것 같다”라며 분리수거물을 담은 봉투를 내놨다. 하지만 봉투를 열어보니 플라스틱과 캔, 종이 등 재활용품과 일반 쓰레기가 섞여있었다. 플라스틱 용기 안에는 약간의 음식물도 남아있었다. 

전문가들은 주택단지에도 분리배출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태희 자연순환사회연대 국장은 “일반 주택에서도 아파트와 같이 품목별 분리배출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재활용 정거장’과 같은 분리배출 시스템 마련과 활성화가 필요하다”라며 “지역의 취약계층을 관리사로 고용해 올바른 분리배출과 함께 일자리 창출도 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라고 말했다. 

또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업체도 가능한 한 재질을 단일화해 재활용하기 쉬운 형태로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김 국장은 “일회용품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아직 갈 길은 멀지만, 예전보다는 플라스틱을 감량하려는 기업의 노력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제품에 색소를 넣는다거나 복합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무색소·단일 재질 제품 등 재활용 친화적인 제품을 생산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