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해외 방산, 조선해양 거점 투자 활용
MRO 성장 기대에 수상·지원함 수주 총력
"M&A 적극 뛰어들어 기업가치 상승 기대"
[뉴스포스트=최종원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지난 20일 이사회를 열고 일반공모 방식의 3.6조원 규모 유상증자를 결의했다. 이같은 유증 소식이 알려지자 당일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7% 가까이 하락하는 등 약세로 돌아섰다.
단기적으로는 주가 하락 위험성이 있지만, 회사는 장기적으로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 방편으로 인식해달라는 입장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중장기적인 방산 수요의 빅 사이클이 예상되는 유럽, 중동, 호주, 미국 등지에 전략적 해외 생산 거점을 확보해 2035년 연결기준 매출 70조원, 영업이익 10조원 규모의 글로벌 톱-티어 기업으로 성장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상방산 및 해양방산∙조선해양 거점 투자에 활용"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에 확보하는 자금 중 1조6000억원을 현지 공장 설립 등 해외 지상방산 거점 투자와 방산 협력을 위한 지분 투자에 활용할 예정이다.
회사는 유럽과 중동 등에서 현지 생산 투자를 조건으로 한 협력 모델을 선호하는 흐름을 인식해 현지 생산 거점 확보로 적극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들 지역에서 기존의 글로벌 베스트셀러 K9 자주포의 뒤를 잇는 천무 다연장로켓, 레드백 장갑차, 대공방어시스템, 탄약(추진장약) 등 차세대 핵심 제품군이 제2, 제3의 K9 자주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현지화 전략을 강화한다.
유상증자로 확보하는 대금 중 9000억원은 국내 추진장약(MCS) 스마트 팩토리 시설 및 주요 방산 사업장 설비 및 운영 투자할 예정이다.
8000억원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 해양방산∙조선해양 생산 거점 확보를 위해서도 투자한다.
최근 미 의회에서 발의된 조선업 강화법 및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과 트럼프 행정부의 조선업 협력 요청 등 호재가 이어지면서 필리 조선소, 싱가포르 다이나맥스에 투자를 강화할 태세다.
미 해군 함정 조달 및 MRO 시장은 지속 성장이 기대되는 만큼 미국의 해군력 확대 정책 및 함정 건조 계획에 따라 수상함, 지원함 시장을 중심으로 진출한다는 방침이다.
무인기용 엔진 개발 시설에는 3000억원을 투자한다. 항공엔진 및 엔진부품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무인기용 엔진을 개발할 뿐 아니라 글로벌 무인기 업체들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항공엔진 기술의 자립도를 높일 계획이다.
방산·조선 협력 직접 지원하는 김동관 부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총괄하는 한화는 최근 호주증권거래소 장외거래를 통해 호주 조선·방산업체 오스탈의 지분을 인수한 바 있다. 그룹 차원에서 조선·방산업체 M&A를 지원하고 있는데, 사업 시너지 제고는 물론 글로벌 수출 확대를 통한 기업가치 상승도 기대한다는 입장이다.
김 부회장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대응해 미국 국방안보 책임자들과의 미팅을 통해 한화오션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사업역량을 소개하며 미국 내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어 지난달 방위산업 전시회인 'IDEX 2025'에 방문하는 등 협력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다. 김 부회장은 당시 "기존의 방산 분야 협력을 공고히 하면서 조선∙해양, 우주, 에너지 등의 영역으로 협력을 확대해 양국 안보는 물론 현지의 경제발전에도 기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김동관號 한화, 조선·방산 경쟁력 위해 M&A 박차 [재계 레이더]
- 한화 김동관, 'IDEX 2025'서 EDGE 그룹과 방산 협의
- 김동관 이끄는 한화, '방산·조선·해양' 3축 수출 확대
- 한화오션의 인도 조선소 건립?…따져볼 점은 [메이크 인 인디아]
- [2025 산업 전망] 한화·현대·KAI…휴전 협상 속 K-방산 성과낼까
- 한화에어로, 10개 대학과 방산·우주항공 협력…김동관 "인재·기술확보 필수"
- 김승연·김동관, 현금 부족에도 한화에어로 유증 강행 이유는 [톺아보기]
- 한화 경영승계 일단락? 김승연 지분 3남에게 증여 [재계 레이더]
- 한화 김동관 등 3형제 '유증 축소' 결단..."소액주주 이득" [톺아보기]
- "유증, 승계 아닌 방산·조선 투자 목적" 한화가 거듭 호소한 이유 [현장]
- "한화 도약 위한 발판" 김동관·김동원·김동선 3자 배정 참여 [유증 리포트]
- 김동관 "한화오션, 한미 조선·방산 협력사로 입지 강화" [재계 동향]
- 김동관 "한화, 사업보국 창업정신으로 국가경제 기여" [재계 동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