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관 등 3남 지분율 42.6%로 상승

한화그룹은 김승연 회장이 8일 저녁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에드윈 퓰너 美 헤리티지재단 아시아연구센터 회장과 만찬을 가졌다고 9일 밝혔다. 사진 왼쪽부터 김동선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전무,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퓰녀 헤리티지재단 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부사장. (사진=한화그룹)
한화그룹은 김승연 회장이 2022년 11월 8일 저녁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에드윈 퓰너 美 헤리티지재단 아시아연구센터 회장과 만찬을 가졌다고 9일 밝혔다. 사진 왼쪽부터 김동선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전무,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퓰녀 헤리티지재단 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부사장. (사진=한화그룹)

[뉴스포스트=최종원 기자]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이 보유하고 있는 (주)한화 지분 22.65% 가운데 절반인 11.32%를 세 아들에게 증여한다.

(주)한화는 31일 공시를 통해 김승연 회장이 보유한 (주)한화 지분을 김동관 부회장, 김동원 사장, 김동선 부사장에게 각각 4.86%, 3.23%, 3.23%씩 증여한다고 밝혔다.

증여후 지주회사인 (주)한화의 지분율은 한화에너지 22.16%, 김승연 회장 11.33%, 김동관 부회장 9.77%, 김동원 사장 5.37%, 김동선 부사장 5.37% 등이다. 

세 아들은 한화에너지의 지분 100%를 갖고 있어 이번 지분 증여로 세 아들의 ㈜한화 지분율은 42.67%가 된다.


"현금흐름 좋은데 유증 왜 하나" "승계 꼼수"


장교동 한화빌딩. (사진=한화)
장교동 한화빌딩. (사진=한화)

(주)한화 이사회는 지난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화빌딩에서 이사회를 열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주주배정 유상증자 참여의 건'을 가결했다. 회사는 지분율(33.95%)에 따라 회사에 배정된 신주 약 162만주를 주당 605000원에 인수한다. 주가는 변동하므로 오는 5월 29일 발행가액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0일 이사회를 열고 일반공모 방식의 3.6조원 규모 유상증자를 결의했다. 단기적으로는 주가 하락 위험성이 있지만, 회사는 장기적으로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투자 방편으로 인식해달라고 설명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안정적인 만큼 유증 결의에 대해 의문을 표했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관계자는 "올해부터 3년 동안 65조원 매출, 8.5조원 영업이익 예상되고 향후 3년간 10조원에 육박하는 영업현금흐름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며 "그런데도 주주가치 희석을 가져오는 유상증자를 추진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의문을 표했다.

일각에선 유증이 경영권 승계를 위한 발판이라고 바라봤다. 총수 회사인 한화에너지가 투자금 회수로 많은 현금을 보유하게 되면 추후 (주)한화 합병 시 더 높은 기업가치로 평가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화에너지는 (주)한화 지분을 지속 매입해온 만큼 경영권 승계의 핵심 회사로 발돋움하고 있다.


"유증과 승계 관련 없어…2218억원 상속세 성실 납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다목적무인차량 '아리온스멧' (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다목적무인차량 '아리온스멧' (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회사는 이번 증여는 경영권 승계 논란과 오해를 해소하고 본연의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결정했다는 입장이다.

한화 측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유상증자 및 한화오션 지분 인수가 승계와 연관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나선 것"이라며 "지배구조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책임경영을 더욱 강화해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고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대승적 결단"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번 지분 증여로 승계가 완료됨에 따라 시급하고 절실한 대규모 해외 투자 목적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를 승계와 연결시키는 억측과 왜곡은 불식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회사 측은 또 "주가가 낮은 시점에 증여를 결정했다거나, 주식 가격을 의도적으로 낮췄다는 주장은 가능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과세기준 가격은 한달 후인 4월 30일 기준 전후 각각 2개월 주가 평균가격으로 결정되므로 상장회사 내부자 주식 거래 사전 공시제도에 따른 것이라는 입장이다. 

회사에 따르면 지분 증여로 김동관 부회장 등이 내야할 증여세는 2218억원(3월 4일~31일 평균 종가 기준) 규모다.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따라 과세된 세금은 법에 맞게 납부한다는 방침이다.

한화그룹 측은 "이번 지분 증여로 승계 관련 논란을 해소하고 방산, 조선해양, 우주항공 등 국가적 차세대 핵심사업에 집중해 기업가치 제고와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