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조선∙방산업체 호주 오스탈 사 전략적 투자"

오스탈 미국 모빌 조선소 전경. (사진=한화그룹)
오스탈 미국 모빌 조선소 전경. (사진=한화그룹)

[뉴스포스트=최종원 기자] 한화가 호주에 본사를 둔 글로벌 조선 및 방위산업체인 오스탈 사의 지분을 인수하며 M&A(인수·합병)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직접 경영정상화와 해외시장 확장을 지원하는 등 글로벌 방산·조선 선도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포부다.


오스탈 주요주주(9.9%)로 조선∙방산시장 공략


한화는 17일 호주증권거래소 장외거래를 통해 오스탈의 지분 9.9%를 직접 매수했다. 해당 지분 외에도 호주 현지 증권사를 통해 추가로 9.9% 지분에 대한 TRS 계약을 체결했다. TRS는 신용파생상품으로 기초자산(주식)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자산에 연동된 수익 손실만 수취하는 금융 계약이다. 

오스탈은 미군 함정을 직접 건조하는 4대 핵심 공급업체다. 한화그룹은 이번 투자를 통해 글로벌 조선∙방산 분야의 키플레이어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18일에는 호주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FIRB)에 오스탈에 대한 19.9% 지분 투자 관련 승인도 동시에 신청했다. 이번 투자는 한화시스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각각 60%와 40%의 지분을 보유한 호주 현지법인을 통해 진행했다.

한화의 이번 지분 인수는 글로벌 방위산업과 조선산업의 호조 속에 한국, 호주, 미국까지의 전략적 파트너십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화는 지난해 6월 미국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필리 조선소 지분 전량을 1억 달러(현재 환율로 1442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맺었다. 모회사인 노르웨이 아커그룹과의 계약이었고, 인수를 위한 제반절차는 지난해 12월 모두 마무리됐다.

오스탈은 서호주 헨더슨과 미국 앨러바마주 모빌,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필리핀, 베트남 등에 조선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또 미 해군의 4대 핵심 공급업체 중 하나로 142억 호주달러에 달하는 수주 잔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내 소형 수상함, 군수지원함 시장점유율 40~60%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김동관, 해외 생산거점 확보로 매출 다각화 지원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왼쪽 세번째)이 지난달 17일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린 방위산업 전시회 IDEX 2025에서 EDGE 그룹 CEO '파이살 알 반나이(Faisal Al Bannai, 왼쪽 네번째)'와 업무 미팅을 진행했다. (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왼쪽 세번째)이 지난달 17일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린 방위산업 전시회 IDEX 2025에서 EDGE 그룹 CEO '파이살 알 반나이(Faisal Al Bannai, 왼쪽 네번째)'와 업무 미팅을 진행했다. (사진=한화에어로스페이스)

김 부회장이 이끄는 한화는 해외 생산거점 확보를 통해 매출 다각화를 노릴 계획이다. 지난달 한화오션 지분을 추가로 인수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방산 및 조선해양 사업 시너지 제고는 물론 글로벌 수출 확대를 통한 기업가치 상승도 기대한다는 입장이다. 

60조원 규모의 잠수함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캐나다에도 업체들과 수주권 경쟁을 이어가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조선업에 대한 협력 의사도 밝힌 만큼 미 해군 MRO도 수주세를 이어갈 수 있다.

싱가포르 부유식 해양 설비 전문 제조업체인 다이나맥 홀딩스 지분도 확보해 해양플랜트 시장 진출을 위한 인프라도 확보했다. 한화오션 지분을 매도한 한화임팩트파트너스와 한화에너지는 해당 재원을 신규 사업 투자와 재무구조 개선에 활용할 예정이다.

마이클 쿨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해외사업 총괄 담당(사장)은 "한화는 오스탈社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방위 및 조선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전략적 투자자로서 오스탈社의 성장과 혁신을 지원하며, 호주 현지 방위산업 및 해군 조선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