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최정우 회장 10대그룹 총수 가운데 증인 명단 유일
‘힌남노’ 이어 또...최 회장 ‘카눈’ 비상에 ‘외유성 골프’ 의혹
포스코그룹 “캐나다서 골프 친 건 맞지만, 비즈니스 목적”
정몽규 HDC그룹 회장·우오현 SM 회장 등 30대그룹 줄소환
[뉴스포스트=이상진 기자] 올해 국정감사에선 10대그룹 총수들에 대해 이른바 ‘총수 망신주기’ 악습을 보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과 SK, 현대차그룹, LG 등 4대그룹 총수들을 포함해 10대그룹 총수 대부분이 국감 1차 증인 명단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다만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10대그룹 총수 가운데 유일하게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삼성 등 4대그룹 총수 제외...최정우, 태풍에 골프 친 의혹에 ‘괘씸죄’
지난 10일 막을 올린 국정감사는 오는 27일까지 진행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4대그룹 총수들은 올해 국감 1차 소환 대상에서 제외됐다.
다만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10대그룹 가운데 유일하게 국회 교육위원회의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문제는 최 회장의 ‘골프 사랑’ 때문이다. 최 회장은 2022년과 2023년 연속 태풍 상륙 당시 골프를 치느라 ‘고로 침수’ 사태 등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포스코는 2022년 9월 태풍 ‘힌남노’가 상륙했을 때 재난대책본부를 가동하고 비상상황에 대비했다. 힌남노로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고로가 침수돼 가동이 정지되기도 했다. 재난대책본부 가동 등 그룹이 비상사태였을 당시 최정우 회장은 주말간 골프를 쳤다. 이에 대해 지난해 국감에서 국민의힘 박성민 의원과 장제원 의원은 국감에 출석한 최 회장을 질타한 바 있다.
문제는 최 회장이 올해도 태풍 ‘카눈’ 상륙 당시 5박6일 캐나다 출장 일정에서 ‘외유성 골프’를 쳤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다만 올해 국감에선 해당 의혹에 대한 최 회장의 입장을 듣지 못할 전망이다. 최 회장이 유럽 출장을 이유로 교육위 국감에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한 까닭이다.
이에 대해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지난 11일 뉴스포스트와 통화에서 “최정우 회장이 캐나다 출장 당시 골프를 쳤던 건 사실이지만, 외유성이 아닌 비즈니스 골프였다”고 해명했다. 이어 “교육위 국감 불출석 사유인 이번 출장은 지난 5월부터 기획된 경영 활동으로, 올해 6월 미국에 이어 이번에는 유럽지역 대형 투자사를 대상으로 기관투자자들을 만나는 일정”이라고 덧붙였다.
정몽규 HDC그룹 회장, 우오현 SM그룹 회장 등 30대그룹 총수들 줄소환
30대그룹으로 범위를 넓히면 증인 명단에 포함된 유수그룹 총수들이 눈에 띈다. 대표적으로 정몽규 HDC그룹 회장과 우오현 SM그룹 회장이 있다. 정몽규 회장은 하도급업체 갑질 의혹으로 공정위에, 우오현 회장은 티케이케미칼 인수합병 과정과 관련해 중소벤처기업부와 특허청 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할 예정이었다. 다만 12일 열린 국감에는 우 회장 대신, 이태우 티케이케미칼 사장이 인수합병 과정과 관련해 증인으로 대신 출석했다.
이외 건설업계 CEO들이 최근 LH 아파트 철근누락 사태 등으로 국토교통위, 환경노동위, 산자위, 정무위 등의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대표적으로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와 관련해 임병용 GS건설 부회장이 국토위 증인으로 지난 10일 국감에 출석해 질타를 받았다.
또 박경일 SK에코플랜트 대표와 마창민 DL이앤씨 대표 등은 튀르키예 차냐칼레 현수교 하도급 공사비 미지급 건으로 증인 명단에 올랐다. 김진 롯데건설 CSO도 환노위 국감에서 3년 연속 발생한 중대재해에 대해 질의를 받는다.
유통업계에선 구창근 CJ ENM 대표와 이선정 CJ올리브영 대표가 소환된다. 각각 구조조정과 중소기업 인수합병 과정에 대한 질의가 나올 예정이다. 이강섭 샤니 대표와 조민수 코스트코코리아 대표는 각각 제빵공장 노동자 안전사고와 코스트코 직원 사망 사고와 관련해 환노위 국감의 증인으로 선다.
한편,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는 지난달 원내대책회의에서 “매년 국정감사에서 기업 총수들과 경제인들을 무리하게 출석시켜 망신 준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다”며 “경제 성장의 엔진이며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업들에 국회가 불필요한 부담을 줘서는 안 된다”고 말해 ‘총수 망신주기식’ 증인 소환을 최소화할 것을 시사한 바 있다.
- [2023 국정감사] 한난, 재무건전성 이슈...정용기·박영순 공방도 주목
- [2023 국정감사] 코레일-SR '통합이슈' 尹한문희-文이종국 평행이론 깨질까
- [2023 국정감사] 한국중부발전 '산업재해·태양광 투자' 이슈
- [2023 국정감사] 한전, 신재생에너지 의무비율 줄여 10조 아낀다
- [2023 국정감사] 학교 밖 청소년 40%가 '범죄소년' 됐다
- [2023 국정감사] 일주일 앞으로…소환되는 유통 CEO는
- [2023 국정감사] 국내 우울증 환자, 20대 여성이 가장 많아
- [2023 국정감사] 복지위, '백신 담합·GMP 위반' 등 제약사 소환
- 신사업으로 '따따블' 노리는 SK에코플랜트, '해외 플랜트' 힘주는 현대건설
- [2023 국정감사] '산업재해 질타' 쿠팡‧'가맹사업법 위반 의혹' LG생건
- [2023 국정감사] 증인 불출석한 회장님들…무더기 고발 당하나
- 이재용 회장, 취임 1주년 '피고인 신분' 법원行...뉴삼성 메시지는 없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