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고객 배려·공감 통해 차별화된 고객경험 제공"
커넥티드 디바이스·AI 에이전트·통합 서비스 등
발판으로 TV·전장 제품에 초개인화 경험 제공
카메라·AP·조명 등 모듈 제품도 선보여

LG전자가 ‘CES 2025’에서 고객의 공감지능(AI) 경험을 다양한 공간으로 연결·확장하며 변화하는 일상을 제시한다. (사진=LG전자)
LG전자가 'CES 2025'에서 고객의 공감지능(AI) 경험을 다양한 공간으로 연결·확장하며 변화하는 일상을 제시한다. (사진=LG전자)

[뉴스포스트=최종원 기자] LG전자가 CES 2025 개막에 앞서 '공감지능과 함께하는 일상의 라이프스 굿'을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전시회에선 모빌리티와 TV를 주력으로 내세운 가운데, 자회사 LG이노텍도 모빌리티 혁신 제품을 공개하기로 했다. 

LG전자는 이달 7일부터 10일(현지 시간)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 개막 전 'LG 월드 프리미어'를 지난 6일 개최했다. 

회사는 지난해 CES에서 미래 고객경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인공지능(AI)을 공감지능으로 재정의했다. 올해는 공감지능이 집, 차량, 커머셜, 가상공간에 이르기까지 공간과 경험을 연결·확장하며 변화되는 일상을 공개했다. 회사 측은 "공감지능은 AI가 고객을 더 배려하고 공감을 통해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한다는 의미를 담는다"고 전했다.


IoT 연결성 높이고 생성형 AI에 데이터 결합… MS와 협력


CES 2025에서 기조연설하는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사장). (사진=LG전자)
CES 2025에서 기조연설하는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사장). (사진=LG전자)

이날 행사에서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사장)는 "고객을 배려하고 공감하는 공감지능이 물리적 공간과 가상환경을 서로 이으며 총체적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로 진화하고 있다"며 "일상 공간에서 제품과 서비스가 연결되는 총체적인 경험은 공감지능이 제공할 수 있는 고객가치이자 다른 AI 기술과 구별되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조 사장은 필요한 요소로 ▲커넥티드 디바이스 ▲유능한 AI 에이전트 ▲통합 서비스를 언급했다. 회사는 전 세계 수억 대의 스마트 제품을 보유하고 있고, 작년엔 스마트홈 플랫폼 기업 앳홈을 인수해 전 세계 170개 이상 IoT 기기 브랜드들과도 연결성을 확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AI 에이전트로는 LG AI홈의 두뇌 역할을 하는 LG 퓨론을 발전시킨다.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생성형 AI에 실시간 공간 센싱과 고객별 생활 패턴 데이터를 결합해 고객의 상황과 맥락을 실시간 파악하고, 기기와 서비스를 제어한다.

통합 서비스를 위한 마이크로소프트(MS)와 전략적 파트너십도 체결했다. 양사는 다양한 공간에 활용되는 AI 에이전트 개발 및 고도화에 협력한다. MS의 음성인식 및 음성합성 기술을 적용해온 LG전자는 MS와 함께 고객의 필요와 선호도까지 예측하는 AI 에이전트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AI 열풍으로 급성장하는 'AI 데이터센터' 분야에서도 협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AI 고도화로 '전장·TV' 제품 통해 초개인화 경험 제공


(사진=LG전자)
(사진=LG전자)

전시 공간도 컨퍼런스 주제와 맞닿아 있다. LG전자는 AI 기술로 집에서 누리는 일상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AI홈 존을 선보인다. 생성형 AI를 탑재한 LG 씽큐와 온디바이스 AI 기반의 콘셉트 제품 등AI홈 허브는 집 안 곳곳에 설치된 센서로 고객의 말과 행동,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연결된 IoT 기기를 제어한다.

AI로 초개인화 경험을 제공하는 2025년형 LG 올레드 에보도 공개됐다. 인공지능리모컨에 AI 전용버튼을 탑재했는데, 회사 측은 AI가 날씨, 시간 등을 알려주고 TV 사용 이력 등을 분석해 콘텐츠를 추천하는 등 초개인화 사용경험을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LLM을 적용해 고객 발화를 이해하고 의도를 추론하는 능력도 발전시켰다고 덧붙였다.

주력 사업이 된 '자동차 전기장치(전장)' 제품도 전시된다. 관람객은 AI 기반 차량에 직접 탑승해 가상 운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인캐빈 센싱' 솔루션을 경험할 수 있다. 회사 측은 "주변 사물, 사람, 신호 등을 인식하는 비전 AI 기술과 카메라, 센서로 수집한 차량 내 정보로 AI가 주행 중 외국어 교통 표지판을 실시간으로 번역하거나, 운전자의 시선과 표정 등을 기반으로 졸음 감지, 실시간 심박수 측정, 안전벨트 착용 인식 등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자회사 LG이노텍도 모빌리티 혁신 제품 선보여


(사진=LG이노텍)
(사진=LG이노텍)

LG이노텍도 모빌리티 단독 테마로 전시를 기획했다. 전시 부스 정중앙에 미래차 목업을 설치하고, 핵심 사업 분야인 차량 센싱, 통신, 조명 부품 15종을 하이라이트로 앞세웠다. AD(자율주행)/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용 센싱 부품사업을 이끌어갈 혁신 제품을 대거 선보인다는 설명이다.

첫 공개되는 '고성능 인캐빈 카메라 모듈'이 대표적이다. 500만 화소급 RGB-IR 겸용 센서를 장착한 고해상도 카메라 모듈로, 운전자의 상태를 실시간 감지하여 졸음운전 등을 방지한다. 회사 측은 "초소형 카메라 모듈 하나로 보조석 및 2열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까지 모니터링이 가능해, 고객의 공간 활용도와 디자인 자유도를 높였다"고 밝혔다.

차량용 AP 모듈도 비중 있게 전시된다. ADAS, 디지털 콕핏과 같은 자동차 전자 시스템을 통합 제어하는 차량용 반도체 부품이다. 컴퓨터의 CPU처럼 차량의 두뇌 역할을 담당한다. 차량 조명 모듈 '넥슬라이드 A+'도  조명 기술을 별도 조성한 넥슬라이드 존과 차량 목업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기차 필수 부품으로 떠오르는 '무선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와 BJB(배터리 정션 박스)를 결합한 'B-Link(Battery Link)' 등도 선보인다. 문혁수 LG이노텍 대표는 "CES 2025를 통해 새로운 고객과 사업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미래 모빌리티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서 입지를 한 층 더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